메뉴 건너뛰기

오두막 (5분에 책 두권 막 읽어주는 목사) Reading Pastor

https://www.youtube.com/watch?v=D4vhI_am-cc 오두막 102번째 이야기 - '좋은 생각이 미디어의 방향을 결정합니다' (Idea First Media Follow) 오늘 소개하는 일반서적은 박웅현 작가의 '여덟 단어'이고, 신앙서적은 윌리엄스틸 목사의 '목사의 길'입니다. 박웅현작가는 '책은 도끼다' '인문학으로 광고하다'의 저자로서 고려대학교에서 신문방송학을 공부하고 뉴욕대학교에서 텔레커뮤니케이션으로 석사 학위를 받으신 분이십니다. 그는 8개의 키워드 곧 '자존,본질,고전,견,현재,권위,소통,인생' 주제를 가지고 8번 강의 한 것을 모아서 출판 한 것이 바로 '여덟 단어'라는 책입니다. 그는 강의 두번째 주제인 '본질'에서 다음과 같은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강력한 콘텐츠는 미디어가 무엇이 됐든 퍼지게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 회사의 내부 슬로건 중 하나가 'Idea First Media Follow'입니다." (p.51) 그렇습니다. 그는 '아이디어가 먼저'지 결코 '매체'가 먼저일 수 없다라고 주장하면서 '광고의 본질'을 잘 정리해 놓고 있습니다. 이 말을 인생에 적용해 보면 '결코 현상이 본질을 규정할 수 없다'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면서 '본질과 생각과 행동'의 상관성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주장합니다. "본질을 무엇으로 보느냐게 따라 생각과 행동이 달라집니다." (p.57) 그러면서 아주 강하게 '고전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자신이 만들었던 카피 광고로 예를 듭니다. "음악은 세번 태어납니다. 베토벤이 작곡했을 때 태어나고 번스타인이 지휘했을 때 태어나고 당신이 들을 때 태어납니다. 음악이 세번째 태어나는 그 순간 인켈이 함께 합니다." (p.87) 같은 맥락으로 '견'에 대하여 말할 때 '대학(大學) 제7장'의 이야기를 가지고 잘 설명합니다. 心不在焉(심부재언)이면/ 마음이 있지 아니하면, 視而不見(시이불견)하며/ 보아도 보이지 아니하며, 聽而不聞(청이불문)하며/ 들어도 들리지 아니하며, 食而不知其味(식이부지기미)니라/ 먹어도 그 맛을 알지 못하느니라. 결국 '마음에 있는 것'을 '눈으로 보게 된다'는 것입니다. 저는 이런 일반서적에 대한 질문에 대하여 좋은 신앙서적으로 스코틀랜드 길컴스턴에서 목회를 하셨던 윌리엄 스틸 목사님의 책 '목사의 길'을 소개합니다. 윌리엄 스틸 목사님은 박웅현작가님의 'Idea First Media Follow'라는 슬로건처럼 J.I.패커의 말을 인용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습니다. "칼뱅이 그리스도인의 삶이라는 주제를 다룰 때 암묵적으로 빈번하게 드러내고 적용하는 전제가 있다. 바로 오직 그리스도인만이 그리스도인의 삶을 살 수 있다는 것이다." (p.24) 만약에 제가 위의 문장을 한줄로 표현한다면 이런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Identity First Life Follow' '그리스도인의 정체성을 확립하면, 그리스도인의 삶은 따라온다!' 윌리암 스틸 목사님은 자신의 책 165페이지에서 특별히 목사는 더욱더 '목사의 일'을 하기 위해서는 전제되어야 할 '자격'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첫째, 목사는 무엇보다도 먼저 그리스도를 인격적으로 알아야 한다... 둘째, 목사 자신이 하나님의 말씀 사역자로 부르심을 받았는지에 대한 분명한 확신이 있어야 하고 또 그런 확신을 계속해서 추구해야 한다. 사역에 들어서기 전에 이 지식을 위해 기꺼이 죽기를 다짐할 정도로 자신의 부르심을 분명히 해야 한다. 셋째, 목사는 하나님의 뜻을 기꺼이 기다릴 줄 알아야 한다... 넷째, 가장 중요한 것이다. 자신에 대해 죽어야 한다." (pp.165-166) 휴우~ 마지막 부분이 쉽지 않게 다가옵니다. '자신에 대하여 죽어야 한다!' 이런 희망이 떠오릅니다. '목사로서 그리스도를 인격적으로 알아가고.... 말씀사역자로서의 부르심을 확신하게 되고... 하나님의 뜻을 기다리다보면... 어느날 '자기죽음'에 대한 요구에도 순응할 날이 올 것이다!' 당장은 어렵겠지만 박웅현작가님을 따라하면서 만든 슬로건이 큰 힘이 됩니다. Identity First Life Follow '목사의 정체성'을 잘 확립하면, '목사의 삶' '목사의 일'도 잘 감당할 수 있을 것이라는 소망을 가져봅니다. 아무쪼록 두 책을 통해서 혹시나 '본질'을 잃어버리고 방황하는 분, 그리스도인, 목사님이 계시다면 회복의 은혜가 있기를 소망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1 오두막 192번째 이야기 - 일반 서적은 조지 오엘의 ‘동물농장’이고, 신앙 서적은 김명용 교수의 ‘칼 바르트의 신학’입니다. 전우철 2024.03.01 2
200 오두막 189번째 이야기 - 일반 서적은 허지웅의 '살고 싶다는 농담'이고, 신앙 서적은 오스 힐먼의 '결정의 책'입니다. 전우철 2024.03.01 3
199 오두막 190번째 이야기 - 일반 서적은 이노우에 히로유키의 ‘내가 찾던 것들은 늘 내 곁에 있었다’이고, 신앙 서적은 숀 러브조이의 ‘목회의 진실’입니다 전우철 2024.03.01 3
198 오두막 191번째 이야기 - 일반 서적은 한스 로슬링의 'Factfullness(사실충실성)'이고, 신앙 서적은 A.W토저의 '하나님의 길에 우연은 없다.' 입니다. 전우철 2024.03.01 3
197 오두막 194번째 이야기 - 일반 서적은 리처드 도킨스 교수의 ‘이기적 유전자’이고, 신앙 서적은 박영식 교수의 ‘창조의 신학’입니다. 전우철 2024.03.01 3
196 오두막 193번째 이야기 - 일반 서적은 유시민 작가의 ‘어떻게 살 것인가’이고, 신앙 서적은 전영규 목사의 ‘따미탕’입니다 전우철 2024.03.01 5
195 오두막 201번째 이야기 - 일반 서적은 히가시노 게이고의 '공허한 십자가'이고, 신앙 서적은 마르틴 헹엘의 '십자가 처형'입니다. 전우철 2024.06.15 5
194 오두막 199번째 이야기 - 일반 서적은 마이클 슈어의 ‘더 좋은 삶을 위한 철학’이고, 신앙 서적은 마이클 고먼의 ‘삶으로 담아내는 복음’입니다. 전우철 2024.04.30 12
193 오두막 195번째 이야기 - 일반 서적은 리처드 도킨스의 '만들어진 신’이고, 신앙 서적은 데이비드 램의 ‘내겐 여전히 불편한 하나님’입니다. 전우철 2024.03.01 13
192 오두막 200번째 이야기 - 일반 서적은 엘런 카스텔의 '나이 듦의 이로움'이고 신앙 서적은 폴 스티븐스의 '나이 듦의 신학'입니다 전우철 2024.04.30 15
191 오두막 198번째 이야기 - 일반 서적은 헨리 나우웬과 캐럴린 휘트니브라운의 ‘날다, 떨어지다, 붙잡다’이고, 신앙 서적은 김일환 전도사의 ‘무명’입니다. 전우철 2024.04.05 18
190 오두막 197번째 이야기 -일반 서적은 룰루 밀러의 ‘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이고, 신앙 서적은 헨리 나우웬의 ‘데이브레이크로 가는 길’입니다. 전우철 2024.03.12 20
189 오두막 196번째 이야기 - 일반 서적은 앵거스 플레처 교수의 ‘우리는 지금 문학이 필요하다’이고, 신앙 서적은 신영춘 교수의 ‘탄식과 구원의 메타포’입니다. 전우철 2024.03.01 22
188 오두막 161번째 이야기 전우철 2023.03.10 41
187 오두막 164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이항심 교수의 '시그니처'(SIGNATURE)이고, 신앙서적은 허천회 박사의 '웨슬리의 생애와 신학' 입니다. 전우철 2023.03.10 41
186 오두막 159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강영안 교수의 '읽는다는 것'이고, 신앙서적은 코넬리우스 플랜팅가 Jr 교수의 ‘설교자의 서재’입니다. 전우철 2023.03.10 43
185 오두막 168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박은미 교수의 ‘쇼펜하우어의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이고, 신앙서적은 최동규 교수의 ‘포스트모던 시대의 목회’입니다 전우철 2023.03.10 43
184 오두막 158번째 이야기 -일반 서적은 조정래 작가의 ‘홀로 쓰고, 함께 살다’이고, 신앙 서적은 이재철 목사의 ‘목사, 그리고 목사직’입니다. 전우철 2023.03.10 44
183 오두막 166번째 이야기 - 일반 서적은 나카노 노부코 교수의 ‘정의 중독’이고, 신앙서적은 윤석길 교수의 ‘질문하며 읽는 바울신학’입니다. 전우철 2023.03.10 45
182 오두막 160번째 이야기 - '희곡같은 소설, 설화 같은 사실' 전우철 2023.03.10 47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