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오두막 (5분에 책 두권 막 읽어주는 목사) Reading Pastor

 

오두막 127번째 이야기 - 'Platon(플라톤) & Nag Hammadi Library (나그 함마디 문서) 그리고 Incarnation (성육신)'
오늘 소개하는 일반서적은 플라톤의 '소크라테스의 대화록'이고, 신앙서적은 조재형교수님의 '초기 그리스도교와 영지주의' 입니다.
먼저 소개하는 '소크라테스의 대화록'은 Platon이 기록한 소크라테스의 대화편 25편 중에서 4대 복음이라고 전해오는 '소크라테스의 변명' '파이돈' '크리톤' '향연' 그리고 '프로타고라스'를 수록한 책입니다.
제가 여기서 인용하는 책은 1991년 군대를 제대하고 나서 대학원에서 철학을 전공할 때 읽었던 것으로서 약 30년이나 된 책입니다.
플라톤은 위의 책들에서 소크라테스의 사상을 소개하면서 더불어서 플라톤 자신의 생각을 첨가하여 글로 남긴 것이기에 플라톤의 사상이 포함되어 있다고 여길 수 있습니다.
제가 이 책을 소개하면서 특별히 신앙서적에서 소개할 '초기 그리스도교와 영지주의'에 영향을 미쳤던 '영과 육' '생과 사'에 관련된 글들을 간추려서 몇가지를 소개합니다.
"죽음이란 어떤 면에서 사람들에게 가장 큰 선일지도 모릅니다... 알지 못하면서 알고 있는듯이 생각 하는 것은 가장 비난을 받아 합당한 무지가 아니겠습니까?" (p.33)
"만일 죽음이라는 것이 이 세상에서 저승으로 가는 여행길과 같은 것이라면, 전설처럼 죽은 자는 누구나 그곳으로 간다는 것이 사실이라면, 이보다 더 좋은 일이 어디 있겠습니까?" (p.52)
"재판관 여러분, 그러므로 여러분도 죽음에 대하여 좋은 희망을 품어야 합니다." (p.53)
"죽는다는 것은 영혼과 육체가 제각기 분리되는 것이 아니겠나? 죽음이란 바로 이런 것이 아니고 무엇이겠나?" (p.67)
"우리의 영혼은 우리의 육체가 인간의 형상을 취하기 이전부터 육테를 떠나서 있었으며 또한 생각하는 능력도 가지고 있었을 게 아닌가?" (p.88)
"철학이란 바로 죽는 연습이 아니겠나?" (p.96)
"그러므로 덕을 위해 남에게 몸을 바친다는 것은 어떤 경우에도 아름다운 것이 될 수 있습니다." (p.207)
그렇습니다. 플라톤은 그의 사상에서 이 '세상의 속박에서 인간을 구원하는 특별한 지식'을 통칭하는 것으로 '영지'라는 용어를 사용하였으며, 그 플라톤의 영향으로 신약성서 탄생 이전에 이미 보편화된 '이원론적 지식체계'가 이루어져 있었습니다.
그리고 '영지' 사상의 책심은 '모나드'(최상의 신)와 '영혼의 여행'이라고 설명합니다.
이러한 플라톤의 설명과 질문에 잘 대답해 주고 설명해주는 신앙서적이 있습니다. 바로 조재형교수님이 쓰신 '초기 그리스도교와 영지주의'라는 책입니다.
우선 조재형교수님은 한국에서 정말 몇 안되는 '영지주의'에 대한 권위자로서, 시카고신학대학원과 클레어몬트대학원 '종교학과'에서 신약성서를 전공하신 분이십니다.
이 책은 '영지주의' (Gnosticism) 곧 그리스도교 초기에 '이단'으로 단정된 종파이고 또한 '영지주의 그리스도교'에 대한 한국 크리스챤들의 반응이 부정적임에도 불구하고 뚜렷한 '복음과 학문에 관한' 소신을 갖고 꾸준히 이 한 분야만 연구하신 비범한 지식인이십니다.
"영지주의 사상/신학의 깊은 이해는 '정통 그리스도교'의 기본신학, 곧 신론, 기독론, 인간론 그리고 성령론을 올바로 이해하는데 필수적이다." (p.6)
그렇습니다. 조재형교수님의 영지주의에 관한 연구는 '영지주의 성서'라고 불리우는 '나그 함마디 문서' (Nag Hmmadi Library)가 1945년 이집트지역에서 발견되어진 것으로부터 시작됩니다.
좀 '나그 함마디 문서'를 소개하면 우리가 잘아는 소설 '다빈치 코드'의 저자인 댄 브라운이 내용구성의 기초로 삼은 것이 '나그 함마디 문서'에 있는 '빌립보서'였었고, 또 총 13권 안에는 '도마복음'과 같은 '영지주의'들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조재형교수님은 위에서 언급했던 것처럼 '정통 그리스도교'의 기본신학을 잘 설명하기 위하여 '영지주의'를 연구하게 되었는데 그는 먼저 신약성서 전체에 스며 있는 영지사상에 대해서 세밀하게 연구하면서 이에 대한 기초로 '영지'와 '영지주의'에 대해서 구분합니다. (위에서 플라톤의 사상을 설명했을 때 내용을 참조)
"나그 함마디 문서는 영지주의적 관점에서 기록되었기 때문에 영지주의 연구의 중요한 원천 자료가 된다. 또한 이것은 역사적 예수와 초기 그리스도교 운동을 추적할 수 있는 지도와 같다." (p.281)
한 예를 들면 요한복음 6장에 관한 설명을 통해 '영지주의'와 '초기 그리스도교'의 논쟁과 토론은 어떻게 '정통 그리스도교'의 기본신학을 세워가는데 일조를 하였는지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요한복음서 전체를 관통하는 고대 영지사상은 예수의 살과 피는 영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반면에 인간의 '살'은 하나님의 나라를 물려 받을 수 없기 때문에 요한복음 6장에는 두 종류의 '살'이 나타난다. 그러므로 요한은 디오니소서 전승을 이용하여 2세기 기독교 영지주의의 가현설을 비판하면서 동시에 기독교적 영지사상을 통하여 인간과는 다른 예수의 살을 해석한다." (p.284)
"무엇보다 요한기자와 바울은 고대 영지사상의 신론과 인간론을 결합하여 성육신의 기독론을 창출했다." (P.288)
아무쪼록 플라톤의 '영지사상'과 '나그 함마디 문서'의 '영지주의'의 이해를 통해서 초기 그리스도교의 기원과 신학을 이해하고 발전시키는 데 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또한 조재형교수님의 탁월한 책을 통해서 그리스도교의 모든 영성운동을 위한 디딤돌로 사용하여 균형잡힌 인문학적인 영성을 추구하는 그리스도인들이 되어지기를 소망합니다.
 
 
 
 
 
 
 
Chongyull Um, Yong Ho Na, 외 31명
댓글 6개
좋아요
댓글 달기
공유하기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0 '리콜인생 리필인생, 리콜설교 리필설교' - 지금 시작하는 인문학 (주현성) / 설교는 인문학이다 (김도인) 전우철 2020.07.07 148
139 '화폐전쟁... 교회안의 번영신학을 배격한다' - 화폐전쟁 (쏭훙빙) / 돈,소유,영원 (랜디 알콘) 전우철 2020.06.23 145
138 '팀 켈러의 숨결이 바람 될 때' - 숨결이 바람 될 때 (폴 칼라니티) / 팀 켈러의 답이 되는 기독교 (팀 켈러) 전우철 2020.06.16 138
137 '고통이라는 선물' - Me Before You (조조 모예스) / 고통이라는 선물 (필립 얀시/폴 브랜드) [2] 전우철 2020.04.29 134
136 '죽음의 고통' - 죽음의 에티켓 (롤란트 술츠) / 하나님, 제게 왜 이러세요? (필립 얀시) 전우철 2020.04.21 134
135 'I AND ME' - 데미안 (헤르만 헤세) / 내면 세계의 질서와 영적성장 (고든 맥도날드) 전우철 2020.07.15 132
134 '접속'만 하지말고 '접촉' 하십시오 - 내가 원하는 것을 나도 모를 때 (전승환) / 큐티 라이프 (김은애) 전우철 2020.05.27 129
133 오두막 134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바버라 에런라이크의 '긍정의 배신'이고, 신앙서적은 ‘개혁복음주의회’(대표/스데반황)의 '배도'입니다. 전우철 2020.12.22 128
132 '나의 인생, 남의 인생' - 어떤 하루 (신준모) / 지금 나는 두렵다 (에드 영) 전우철 2020.04.23 127
131 '신은 없다, 신은 있다' - 무신론자를 위한 종교(알랭 드 보통) / 순전한 기독교 (C.S 루이스) 전우철 2020.04.28 125
130 '인간, 돈으로 살 수 없는 하나님의 파트너' - 돈으로 살 수 없는 것들 (마이클 센델) / 인간의 본질과 운명 (이신건) 전우철 2020.06.24 124
129 '외로움' - 스님의 주례사 (법륜) / 결혼을 말하다 (팀 켈러) [2] 전우철 2020.04.07 121
128 오두막 135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파울로 코엘료의 '베로니카 죽기로 결심하다' 이고, 신앙서적은 케런 메이슨의 '그대 죽지 말아요' 입니다. 전우철 2020.12.22 118
127 오두막 139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존 밀턴의 '실락원'이고, 신앙서적은 존 비비어의 '순종'입니다. 정안젤라 2021.04.14 116
126 '길동무' - 지쳤거나 좋아하는 게 없거나 (글배우) / 내 평생에 가는 길 (앨리스터 맥그래스) 전우철 2020.04.22 113
125 '길' - 살면서 쉬웠던 날이 단 하루도 없었다 (박광수) / 천로역정 (존 번연) [2] 전우철 2020.04.14 111
124 오두막 178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롤프 젤린의 ‘나는 단호해지기로 결심했다’이고, 신앙서적은 메이블 윌리엄슨의 '우리에게 마음대로 살 권리가 있는가'입니다 전우철 2023.03.10 110
123 '감사' - 가짜와 진짜 (김승옥) / 꽃들의 소망 (전기철) [2] 전우철 2020.03.31 109
122 오두막 179번째 이야기 - '일반 서적은 최인철 교수의 '프레임'이고, 신앙 서적은 제임스 패커 목사의 '하나님을 아는 지식'입니다. 전우철 2023.05.08 108
121 오두막 177번째 이야기 -일반 서적은 진성섭 작가의 ‘콤플렉스로 읽는 그리스 신화’이고, 신앙 서적은 강준민 목사의 ‘리더의 고독’입니다. 전우철 2023.03.10 104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