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오두막 (5분에 책 두권 막 읽어주는 목사) Reading Pastor

.

 

오두막 173번째 이야기 ‘이태원 참사를 통해 사람의 책임과 하나님의 개입’

 

오늘 소개하는 일반 서적은 니콜로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이고, 신앙 서적은 지형은 목사의 ‘인용구(Quotation)’입니다.

일반 서적입니다. 니콜로 마키아벨리 책의 한국어 번역 제목이 ‘군주론’이라고 하지만 원래 이탈리어의 제목은 이탈리어로 Il Principe, 영어로 번역하면 The Prince’이고, 이탈리아의 의미는 통상적으로 ‘지배자(Ruler)’를 의미합니다.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은 16세기 이탈리아라는 역사적 배경을 두고 강력한 ‘군주제’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러다보니 군주를 위한 ‘군대의 중요성’과 인민들이 군주로부터 느껴야 항목 중에서 ‘사랑보다는 두려움’을 강조합니다.

“따라서 저는 어떤 군주국이든 자신의 군대를 가지지 못하면 안전할 없다고 결론짓겠습니다.(P.102).

“그러나 동시에 얻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굳이 중에서 어느 하나를 포기해야 한다면 저는 사랑을 느끼게 하는 것보다는 두려움을 느끼게 하는 것이 훨씬 안전하다고 생각합니다.(P.119).

사실 마키아벨리는 군주제보다는 ‘공화제’를 선호했던 인물입니다. 그런 그가 피렌체가의 밖에 났던 것을 회복하기 위해서 것이 ‘군주론’입니다. 그는 책을 통해서 당시 강력한 군주제를 가지고 있던 프랑스와 스페인과는 달리 교황령, 나폴리왕국, 밀라노왕국, 베네치아공화국, 피렌체공화국, 이렇게 5 세력으로 분리되어 있는 이탈리아를 ‘통일 이탈리아’로 만들기 위한 귀한 초석이 되고자 했습니다. 책의 가치는 이탈리아를 고대철학의 덕과 중세시대의 종교의 틀에서 벗어나게 하여 근대 정치를 시작할 있도록 이론적 기초를 세운 있습니다.   

 

신앙 서적입니다. 글의 장르는 칼럼인데 1998년부터 2010년까지의 사건과 역사를 저자의 관점으로 관찰, 해석, 기록하였으며 일곱 가지 주제를 89개의 주옥같은 글로 기록하였습니다. 책을 읽다보면 2022년을 살아가는 독자의 관점에서 시간과 공간의 이질감을 가질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였는데, 그런 염려가 부질없는 선입관이었음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특별히 1997 IMF 상황을 두고 사람의 책임과 하나님의 개입을 이야기하는데, 마치 2022 이태원 참사에 대한 해결 방안을 읽고 있는 같았습니다.

“호세아의 희망 선포에는 깊은 역사 인식이 담겨있다. 첫째, 위기의 원인을 근본적으로 ‘우리 잘못’에서 찾은 것이다. 명백한 책임 의식이다. (중략) 둘째, 호세아는 인간 역사가 인과관계의 사슬 속에 갇혀 있다고 보지 않았다. 하나님의 개입을 인정한 것이다. (중략) 오늘날 한국 기독교가 희망을 찾는 사람들에게 선포해야 희망 이야기가 이런 식이어야 한다. 인간의 책임 의식에 대해 아무리 많이 말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중략) 명백한 책임 의식이 있어야만 돌이킬 있다. 그러나 한편 하나님의 역사 섭리를 겸허하게 인정해야 한다.(PP.15~16).

저자는 기독교의 실천을 통한 세상의 변화를 강조하면서 그리스도인의 삶으로써 예수의 생명과 진리를 이루어가야 함을 설득합니다.

“지금 한국 교회는 사회적 신뢰라는 시험대를 통과하고 있다. (중략) 시간이 많지 않다. 그리고 시험은 한국 교회가 치를 있는 마지막 시험인지도 모른다. 그저 하나의 종교 집단으로 남을 것인가, 예수 그리스도의 생명을 전하는 복음의 증언자일 것인가를 결정하는 시험말이다.(P.112).

저자와의 대화를 통해서 저자의 가치관, 인생관, 사상을 들을 기회가 있었습니다. 저자는 자신의 최고의 가치는 특별계시인 성경이라고 말하면서 일반계시의 가치 항목으로서 인도적 인륜도덕, 생태적 환경윤리, 법치와 민주주의, 상생의 시장경제를 말합니다. 이야기를 듣고 나서 ‘인용구’ 책에 적혀 있던 7가지 주제들이 이런 글로 쓰이게 되었는지를 이해할 있었습니다. 다음 제목의 칼럼들이 특히 그렇습니다. ‘희망과 토끼’, ‘개혁과 신화’, ‘그리스도인과 신뢰’, ‘선거와 책임’, ‘역사와 망각’, ‘교회와 정치’, ‘침묵과 고백.

한국에서는 10·29이태원참사’로 인하여 유가족은 물론이고 국민 모두가 슬픔에 잠겨있습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우리나라가 16세기 이탈리아처럼 군주국가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참사에 대하여 대통령은 물론이고 어떤 위정자도 정치 도의적인 책임 또는 공적인 책임을 지려는 사람이 없습니다. 법적인 책임 소재를 가리는 수사도 문제의 소지가 적지 않다고 보입니다. 우리나라 헌법 1조와 2조는 각각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 “대한민국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라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군주국가처럼 ‘힘과 두려움’으로 국민을 제압하고 국정을 지배하려고 합니다.

한국의 기독교도 안타깝기는 마찬가지입니다. 지형은 목사의 11 25일자 CBS 논평에서 말했듯이 ‘신앙적인 책임은 무한 책임’임에도 불구하고 젊은 청년들을 포용하지 못한 한국 교회의 잘못에 대하여 책임 있는 반성과 회개가 부족합니다. 정부나 교계 모두 부끄러울 뿐입니다.

책을 읽으면서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 시대야말로 사람의 책임과 하나님의 개입이 절실히 필요한 시대이다! 하나님, 우리나라 교계와 정계를 불쌍히 여겨 주옵소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1 오두막 91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사노 요코의 ‘사는게 뭐라고’ 이고, 신앙서적은 래리 오스본의 ‘바벨론에서 그리스도인으로 살기’ 입니다. 전우철 2020.09.11 73
60 오두막 142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벤 티글러의 '래더'이고, 신앙서적은 챨스 스펄전 목사님의 '스펄전의 목사론'입니다. 정안젤라 2021.04.14 73
» 오두막 173번째 이야기 - 일반 서적은 니콜로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이고, 신앙 서적은 지형은 목사의 ‘인용구(Quotation)’입니다. 전우철 2023.03.10 73
58 오두막 68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김용섭 작가님이 쓰신 ‘언컨택트’이고, 신앙서적은 챨스 스펄전 목사님이 쓰신 ‘결정적 한걸음’ 입니다. 전우철 2020.08.14 72
57 오두막 84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조지 오엘의 ‘동물농장’이고, 신앙서적은 김명용교수님의 ‘칼 바르트의 신학’입니다. 전우철 2020.09.07 72
56 오두막 136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비벡 머시의 '우리는 다시 연결되어야 한다' 이고, 신앙서적은 코르넬리스 프롱크의 '예수 그리스도 외에 다른 터는 없네' 정안젤라 2021.04.14 72
55 오두막 146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롤프 젤린의 ‘나는 단호해지기로 결심했다’이고, 신앙서적은 메이블 윌리엄슨의'우리에게 마음대로 살 권리가 있는가'입니다. 정안젤라 2021.04.14 72
54 오두막 95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로버트 루트번스타인과 미셸 루투번스타인의 ‘생각의 탄생’이고, 신앙서적은 필립 얀시의 ‘수상한 소문’입니다. 전우철 2020.09.18 71
53 오두막 69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통계학 분야의 세계적 석학이신 한스 로슬링의 'Factfullness/사실충실성'이고, 신앙서적은 이시대의 선지자이자 최고의 설교가인 A.W토저의 '하나님의 길에 우연은 없다' 입니다. 전우철 2020.08.14 71
52 오두막 129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조정래작가님의 '홀로 쓰고, 함께 살다'이고, 신앙서적은 본회퍼의 '성도의 공동생활' 입니다. 전우철 2020.12.07 71
51 오두막 130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최재천교수외 5명의 '코로나 사피엔스' 이고, 신앙서적은 톰 라이트의 '시대가 묻고 성경이 답하다' 입니다. 전우철 2020.12.22 71
50 오두막 150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김형석 명예교수의 ‘기독교, ( 아직 ) 희망이 있는가?’이고, 신앙서적은 존 파이퍼 목사외 8인의 ‘복음, 자유를 선포하다’입니다. file 정안젤라 2021.04.14 71
49 오두막 170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미하엘 하우스켈러의 ‘왜 살아야 하는가’이고 신앙서적은 전대진의 ‘하나님, 저 잘 살고 있나요?’입니다. 전우철 2023.03.10 71
48 오두막 82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단테의 '신곡'이고, 신앙서적은 프랜시스 첸의 '지옥은 없다?'입니다. 전우철 2020.09.07 70
47 오두막 86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문영미교수님의 '디퍼런트' Different 라는 책이고, 신앙서적은 블레인 앨런 목사님의 '그만두고 싶은 목사, 그만둘 수 없는 목회' Before You Quit 입니다. 전우철 2020.09.07 70
46 오두막 143번째 이야기 -일반서적은 에카르트 폰 히르슈하우젠의 '행복은 혼자 오지 않는다'이고, 신앙서적은 러셀 무어의 '폭풍 속의 가정'입니다. 정안젤라 2021.04.14 70
45 오두막 145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이노우에 히로유키의 ‘내가 찾던 것들은 늘 내 곁에 있었다’이고, 신앙서적은 숀 러브조이의 ‘목회의 진실’입니다. 정안젤라 2021.04.14 70
44 오두막 182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데일 카네기의 인간 관계론이고, 신앙서적은 팀&조이 다운스의 '부부싸움의 은혜' 입니다. 전우철 2023.08.11 70
43 오두막 70번째 이야기 –일반서적은 파울로 코엘료의 ‘불륜’이고, 신앙서적은 팀 켈러의 ‘내가 만든 신’ 입니다. 전우철 2020.08.14 69
42 오두막 109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에번 카마이클의 '한 단어의 힘'이고, 신앙서적은 존 맥아더의 '예배' (우리는 예배 드리기 위해 구원받았다) 입니다 전우철 2020.10.14 69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