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오두막 (5분에 책 두권 막 읽어주는 목사) Reading Pastor

오두막 78번째 이야기 – ‘The Sovereignty’ (니콜로 마키아벨리와 아더 핑크)
오늘 소개하는 일반서적은 니콜로 마키라벨리의 ‘군주론’이고, 신앙서적은 아더 핑크의 ‘하나님의 주권’입니다.
니콜로 마키아벨리 책의 한국어 번역 제목이 ‘군주론’이라고 하지만 원래 이탈리어의 제목은 이탈리어로 Il Principe 곧 영어로 번역하면 ‘The Prince’입니다. 물론 이 뜻은 이탈리어로 통상 '지배자'(Ruler)를 의미합니다.
아더 핑크의 ‘하나님의 주권’이라는 영어제목이 The Sovereignty of God 인데 여기서 Sovereignty 주권이라는 단어는 ‘통치권’ ‘자주권’ 외에 또한 ‘군주’라는 뜻을 갖고 있습니다.
오늘 저는 일반서적이 질문하고 신앙서적이 대답하는 오두막을 만들면서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미국 대통령 후보선출을 앞두고 ‘과연 대통령의 권한’은 어디까지 행세할 수 있는 것일까?’’
‘특별히 지난 몇개월 동안 TV SHOW ‘리얼리티’를 진행하듯이 국정운영하여도 괜찮은 것인가?’
‘기독교적이고 보수적이라고 하는 ‘대통령의 주권’은 과연 그러한가?’
더불어서 전광훈목사의 사태를 보면서 이러한 질문도 제 머리에서 맴돌았습니다.
‘목사에게 주어진 주권이란 어디까지 허용되는 것인가?’
‘오늘 아침 로마서 12장 묵상 내용을 보면 ‘Do not think of yourself more highly than you ought’ ‘마땅히 생각할 그 이상을 품지 말고’ 오직 ‘The Measure of Faith’ 믿음의 분량대로 행하라고 하는데 과연 나를 포함한 목사들은 하나님의 주권에 완전히 순복하는가?’
이에 대한 일반서적인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은 참으로 자세하고도 생생하게 16세기 이탈리아라는 역사적 배경을 두고 강력한 '군주제'의 필요성을 잘 설명하고 있습니다.
사실 마키아벨리는 군주제보다는 '공화제'를 선호했던 인물로서 피렌체가에게 눈밖에 났던 것을 회복하기 위해서 '군주론'을 썼던 것입니다.
물론 이 책의 목적은 이미 그당시 강력한 군주제를 가지고 있던 프랑스와 스페인과는 달리 ‘교황령’ ‘나폴리왕국’ ‘밀라노왕국’ ‘베네치아공화국’ ‘피렌체공화국’ 이렇게 5대 세력으로 분리되어 있는 이탈리아를 ‘통일 이탈리아’로 만들기위한 귀한 초석이 되었을뿐만아니라 (이론적으로만) 그때까지만해도 ‘고대철학의 덕’과 ‘중세시대의 종교’의 틀에서 벗어나게 한 ‘근대정치’ 이론을 세운 가치있는 책입니다.
이에 대한 신앙서적인 아더 핑크의 ‘하나님의 주권’은 세계 제 1차 대전이 끝나고, 진화론에 입각한 ‘자유주의 신학’이 등장하면서 흔들리는 ‘청교도신학’의 정통성을 확립시키기 위하여 쓰여진 책으로서 특별히 ‘인본주의’로 인하여 무너진 ‘하나님의 주권’의 필요성에 대해서 피력하고 있습니다.
이 책에서 배우는 교훈은 사실 어떤 정치제도의 형태이든 간에 (군주제이든, 입헌군주제이든, 공화제이든 간에) 창조주이시며, 절대자이신 하나님의 주권에 온전히 신뢰하고 따르는 사람들에게 주시는 하나님의 인도하심과 보호하심을 소개하고 싶습니다.
아무쪼록 니콜로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에서 발견되는 ‘인간의 주권’에 대한 질문에 대하여 아더 핑크의 ‘하나님의 주권’에 대한 설명이 시원한 대답이 되기를 소망합니다.
'Deo Volente' ‘주의 뜻을 이루소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0 오두막 121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유발 하라리의 '호모 데우스'이고, 신앙서적은 게할더스 보스의 '성경신학' 입니다. 전우철 2020.11.17 75
79 오두막 122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도러이사 브랜디의 '작가수업'이고, 신앙서적은 강영안교수님의 '읽는다는 것' 입니다. 전우철 2020.11.17 67
78 오두막 123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허지웅의 '살고 싶다는 농담'이고, 신앙서적은 오스 힐먼의 '결정의 책' 입니다. 전우철 2020.11.27 65
77 오두막 124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장기하의 '상관없는 거 아닌가?'이고, 신앙서적은 조나단 에드워즈의 '점검'입니다. 전우철 2020.11.27 222
76 오두막 125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심판'이고, 신앙서적은 박성일교수님의 'C.S.루이스가 만난 그리스도' 입니다. 전우철 2020.11.27 78
75 오두막 126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박노해시인의 '푸른 빛의 소녀가'이며, 신앙서적은 심영규목사님의 '요한계시록 묵상집' 입니다. 전우철 2020.11.28 72
74 오두막 127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플라톤의 '소크라테스의 대화록'이고, 신앙서적은 조재형교수님의 '초기 그리스도교와 영지주의' 입니다. 전우철 2020.12.07 84
73 오두막 128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노인과 바다'이고, 신앙서적은 챨스 콜슨의 '이것이 인생이다' 입니다. 전우철 2020.12.07 72
72 오두막 129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조정래작가님의 '홀로 쓰고, 함께 살다'이고, 신앙서적은 본회퍼의 '성도의 공동생활' 입니다. 전우철 2020.12.07 68
71 오두막 130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최재천교수외 5명의 '코로나 사피엔스' 이고, 신앙서적은 톰 라이트의 '시대가 묻고 성경이 답하다' 입니다. 전우철 2020.12.22 66
70 오두막 131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우에니시 아키라 심리학박사가 쓴 '혼자가 되어야만 얻을 수 있는 것'이고, 신앙서적은 이혜진목사님의 '아침묵상 창세기' 입니다. 전우철 2020.12.22 65
69 오두막 132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윌 듀런트의 '내가 왜 계속 살아야 합니까'이고, 신앙서적은 엘리자베스 엘리엇의 '고통은 헛되지 않아요' 입니다. 전우철 2020.12.22 886
68 오두막 133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황동규의 '오늘 하루만이라도'이고, 신앙서적은 헬무트 틸리케의'현실과 믿음 사이' 입니다. 전우철 2020.12.22 192
67 오두막 134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바버라 에런라이크의 '긍정의 배신'이고, 신앙서적은 ‘개혁복음주의회’(대표/스데반황)의 '배도'입니다. 전우철 2020.12.22 128
66 오두막 135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파울로 코엘료의 '베로니카 죽기로 결심하다' 이고, 신앙서적은 케런 메이슨의 '그대 죽지 말아요' 입니다. 전우철 2020.12.22 118
65 오두막 136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비벡 머시의 '우리는 다시 연결되어야 한다' 이고, 신앙서적은 코르넬리스 프롱크의 '예수 그리스도 외에 다른 터는 없네' 정안젤라 2021.04.14 63
64 오두막 137번째 이야기 -일반서적은 알란 캐스터의 '나이듦의 이로움' 이고, 폴 스티븐슨의 '나이듦의 신학' 입니다. 정안젤라 2021.04.14 84
63 오두막 138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더글러스 홀러데이의 '여덟가지 인생질문' 이고, 신앙서적은 코르넬리스 비네마의 '개혁주의 종말론 탐구'와 이신건교수님의 '종말론의 역사와 주제' 입니다. 정안젤라 2021.04.14 72
62 오두막 139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존 밀턴의 '실락원'이고, 신앙서적은 존 비비어의 '순종'입니다. 정안젤라 2021.04.14 116
61 오두막 140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케런 리날디의 ‘나는 파도에서 넘어지며 인생을 배웠다’ 이고, 신앙서적은 존 오트보그의 ‘물 위를 걸으려면 단순하게 믿으라’ 입니다. 정안젤라 2021.04.14 75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