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오두막 (5분에 책 두권 막 읽어주는 목사) Reading Pastor

오두막 85번째 이야기 - '나의 유언, 오늘은 9월 2일이다' (Catcher and Caught)
오늘 소개하는 일반서적은 J.D.샐린저의 '호밀밭의 파수꾼' (The Catcher In The Rye)이고, 신앙서적은 김요셉목사의 '삶으로 가르치는 것만 남는다' (Teaching Is Caught, Not Taught)
'호밀밭의 파수꾼'은 1951년도에 출판된 소설책으로서 세계 제2차 대전 이후의 미국 젊은이들에게 큰 반향을 불러 일으켰던 책입니다.
내용은 이러합니다. 아버지를 변호사로 둔 주인공 홀든이라는 고등학교 학생은 4개의 과목에서 F학점을 얻어 퇴학을 당합니다. 그런데 사실 펜시라는 고등학교에서 퇴학을 당하기전에 이미 4학교에서 퇴학을 당했던 경험이 있습니다.
이 소설은 퇴학을 당한 홀든이 학교기숙사에서 나와 이후 2박 3일 동안의 일상을 적은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제가 이 소설책을 읽으면서 갖게된 가장 큰 감동과 교훈을 말하라고 한다면 이미 학교에서도 퇴학을 당하고, 이제 아빠로부터 '죽을 일'만 남은 홀든에게 여동생 피비가 던진 질문에 대한 답변 내용입니다.
"오빠는 어떤 사람이 되고 싶어?"
여러가지 의미없이 대답하던 홀든이 이렇게 대답합니다.
"나는 넓은 호밀밭의 파수꾼이 될거야 The Catcher In The Rye."
"나는 늘 넓은 호밀밭에서 꼬마들이 재미있게 놀고 있는 모습을 상상하곤 했어... 어린애들만 수천 명이 있을 뿐 주위에 어른이라고는 나밖에 없는 거야.
그리고 난 아득한 절벽 옆에 서 있어. 내가 할 일은 아이들이 절벽으로 떨어질 것 같으면, 재빨리 붙잡아 주는 거야. 애들이란 앞뒤 생각 없이 마구 달리는법이니까말이야." (pp.229-230)
사실 이 고백은 홀든 자신의 처지와 상황을 잘 대변해 주고 있는 이야기입니다.
그렇습니다. 홀든의 고등학교 까지의 짧은인생을 돌이켜보면 '성적문제는 물론이고 술 담배 폭력 심지어 매춘유혹'등으로 위기에 놓여 있는 자신을 구원할 자인 어른들이 도리어 '위선과 거짓'으로 자신을 거칠게 판단 비판하고, 심지어 성추행하는 교사를 만나면서 정말 절벽 끝자락에 놓여 있게 된 상황이었습니다.
홀든은 호밀밭 절벽 끝에 있는 자신을 어른들이 Teaching 하려고 들지 말고 Catching 해 주기를줄 염원하고 있는 것입니다.
저는 일반서적의 질문에 답할 책을 좀 오래된 책이지만 김요셉목사님의 'Teaching Is Caught, Not Taught'을 정한 이유는 두가지입니다.
첫째는, 두 책의 제목 중에서 'CATCH'라는 단어가 들어가 있어서 인데 J.D.샐린저 책에서는 'CATCHER' '붙잡는 자'로.... 김요셉목사님의 책에서는 'CAUGHT' '붙잡히는 자'로 묘사되어 있는 것이 너무 흥미로왔습니다.
둘째는, 절벽 끝에 놓여 청소년들에게 결국 TEACHING 말 (잔소리)로 구출해 낼 수 있는 것이 아니라 LIVING 삶 (말과 생활의 일치)으로 저들의 인생을 지켜낼 수 있다는 것입니다.
참 흥미롭게도 오늘 2020년 9월 2일에 '오두막 85번째 이야기' 영상을 만들 때 김요셉목사님의 책 내용 중에서 '9월 2일' '기도의 날' 이야기가 있어서 깜짝 놀랬습니다.
중앙기독초등학교가 기도로 세워지는 학교가 되기 위한 '기도의 씨앗'을 심은 '최형석선생님의 마지막 유언'은 제 가슴에 눈물을 심어주셨습니다.
""우리 학교가 기도하는 학교가 되게 해 주세요." 2004년 9월 2일, 최선생님은 마지막 유언을 남기고 발병한지 1년 만에 우리 곁을 떠나 하나님 품으로 갔다."
저도 홀든의 소망처럼 저 역시 '호밀밭의 CATCHER 파수꾼'이 되고 싶습니다. 그리고 김요셉목사님의 소망처럼 '파수꾼'이 될 때 나의 '말만'이 아니라 '삶으로도' 절벽 끝에 놓여 있는 아이들을 주님의 십자가에 'CAUGHT 잡히게' 하고 싶습니다.
최형석선생님을 한번도 뵌 적은 없지만 선생님의 유언처럼 매년 9월 2일 오늘을 제 인생의 '기도의 날'로 정하고 살아가리라 '유언과 같은 결심'을 글로 남깁니다.
 
 
 
 
 
 
 
이용우, Eun Kook Kim, 외 18명
댓글 6개
좋아요
댓글 달기
공유하기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0 '죽음' - 어떻게 살 것인가 (유시민) / 따미탕 (전영규) 전우철 2020.03.27 172
39 'The Book 내 인생의 책' - 잘못은 우리 별에 있어 (존 그린) / 삶을 위한 신학 (앨리스터 맥그래스) [2] 전우철 2020.05.07 172
38 '기다림' - 사람사전 (정철) / 열 두 예언자의 영성 (차준희) 전우철 2020.05.22 173
37 '남북통일을 위한 기도'' - 나쁜 사마리아인들(장하준)/대천덕신부의 통일을 위한 코이노니아'(대천덕) 전우철 2020.05.12 173
36 '세속공간을 변화시키는 것' - 신인류와 문화콘텐츠 그리고 대중문화 (이길용) / 이머징 교회 (에디깁스/라이언볼저) 전우철 2020.05.04 175
35 'Logo-Therapy 로고 테라피 vs 로고스 테라피' - 빅터 프랭클의 죽음의 수용소에서 (빅터 브랭클) / 약함이 길이다 (제임스 패커) 전우철 2020.07.24 176
34 오두막 186번째 이야기 – 일반 서적은 케런 리날디의 ‘나는 파도에서 넘어지며 인생을 배웠다’ 이고, 신앙 서적은 존 오트보그의 ‘물 위를 걸으려면 단순하게 믿으라’ 입니다. 전우철 2023.08.11 177
33 'Transformation의 크기는, Information의 크기에 달려있다' - 뉴스의 시대 (알랭 드 보통) / 말씀묵상과 예수님을 닮아가는 삶 (강준민) 전우철 2020.05.05 179
32 오두막 188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존 밀턴의 '실락원'이고, 신앙 서적은 존 비비어의 '순종'입니다. 전우철 2023.08.11 190
31 'Sink Hole 한국교회에 싱크홀이 생겼습니다' - 이교에 물든 기독교 (프랭크 바이올라/조지 바나) / 미셔널 처치 (최동규) 전우철 2020.05.15 192
30 오두막 133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황동규의 '오늘 하루만이라도'이고, 신앙서적은 헬무트 틸리케의'현실과 믿음 사이' 입니다. 전우철 2020.12.22 192
29 'Undertaker 장의사'' - 사피엔스 (유발 하라리) / 신을 죽이려는 사람들 (존 레녹스) 전우철 2020.06.12 196
28 오두막 102번째 이야기 -일반서적은 박웅현 작가의 '여덟 단어'이고, 신앙서적은 윌리엄스틸 목사의 '목사의 길'입니다. 전우철 2020.10.02 207
27 'POLITEIA 국가란 무엇인가?' - 국가론 (플라톤) / 뭐야, 예수 믿는다구? (이정근) 전우철 2020.06.03 208
26 오두막 106번째 이야기 -일반서적은 황지우 시인의 '어느 날 나는 흐린 주점에 앉아 있을 거다'이고, 신앙서적으로는 헨리 나우웬의 '춤추시는 하나님'입니다. 전우철 2020.10.08 208
25 '마지막때, 우리는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가?' - 백만장자의 마지막 질문 (김용규), 잊혀진 질문 (차동엽) / 친절한 계시록 (정은일) 전우철 2020.06.11 211
24 '만족' - 나는 둔감하게 살기로 했다 (와다나베 준이치) / '단기선교에서 배우는 하나님' (전희근) [2] 전우철 2020.04.02 213
23 'The Radical Disciple 함께 있는 것이 보냄을 받는 것 보다 더 우선순위입니다' - 1cm+ (김은주) 1cm다이빙 (태수 문정) / 제자도 (윤석길) 제자도 (존 스토트) 전우철 2020.06.17 216
22 '파스칼과 죠나단 에드워즈' - 팡세 (블레즈 파스칼) / 놀라운 부흥과 회심 이야기 (죠나단 에드워즈) 전우철 2020.07.17 221
21 오두막 124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장기하의 '상관없는 거 아닌가?'이고, 신앙서적은 조나단 에드워즈의 '점검'입니다. 전우철 2020.11.27 222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