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오두막 (5분에 책 두권 막 읽어주는 목사) Reading Pastor

오두막 85번째 이야기 - '나의 유언, 오늘은 9월 2일이다' (Catcher and Caught)
오늘 소개하는 일반서적은 J.D.샐린저의 '호밀밭의 파수꾼' (The Catcher In The Rye)이고, 신앙서적은 김요셉목사의 '삶으로 가르치는 것만 남는다' (Teaching Is Caught, Not Taught)
'호밀밭의 파수꾼'은 1951년도에 출판된 소설책으로서 세계 제2차 대전 이후의 미국 젊은이들에게 큰 반향을 불러 일으켰던 책입니다.
내용은 이러합니다. 아버지를 변호사로 둔 주인공 홀든이라는 고등학교 학생은 4개의 과목에서 F학점을 얻어 퇴학을 당합니다. 그런데 사실 펜시라는 고등학교에서 퇴학을 당하기전에 이미 4학교에서 퇴학을 당했던 경험이 있습니다.
이 소설은 퇴학을 당한 홀든이 학교기숙사에서 나와 이후 2박 3일 동안의 일상을 적은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제가 이 소설책을 읽으면서 갖게된 가장 큰 감동과 교훈을 말하라고 한다면 이미 학교에서도 퇴학을 당하고, 이제 아빠로부터 '죽을 일'만 남은 홀든에게 여동생 피비가 던진 질문에 대한 답변 내용입니다.
"오빠는 어떤 사람이 되고 싶어?"
여러가지 의미없이 대답하던 홀든이 이렇게 대답합니다.
"나는 넓은 호밀밭의 파수꾼이 될거야 The Catcher In The Rye."
"나는 늘 넓은 호밀밭에서 꼬마들이 재미있게 놀고 있는 모습을 상상하곤 했어... 어린애들만 수천 명이 있을 뿐 주위에 어른이라고는 나밖에 없는 거야.
그리고 난 아득한 절벽 옆에 서 있어. 내가 할 일은 아이들이 절벽으로 떨어질 것 같으면, 재빨리 붙잡아 주는 거야. 애들이란 앞뒤 생각 없이 마구 달리는법이니까말이야." (pp.229-230)
사실 이 고백은 홀든 자신의 처지와 상황을 잘 대변해 주고 있는 이야기입니다.
그렇습니다. 홀든의 고등학교 까지의 짧은인생을 돌이켜보면 '성적문제는 물론이고 술 담배 폭력 심지어 매춘유혹'등으로 위기에 놓여 있는 자신을 구원할 자인 어른들이 도리어 '위선과 거짓'으로 자신을 거칠게 판단 비판하고, 심지어 성추행하는 교사를 만나면서 정말 절벽 끝자락에 놓여 있게 된 상황이었습니다.
홀든은 호밀밭 절벽 끝에 있는 자신을 어른들이 Teaching 하려고 들지 말고 Catching 해 주기를줄 염원하고 있는 것입니다.
저는 일반서적의 질문에 답할 책을 좀 오래된 책이지만 김요셉목사님의 'Teaching Is Caught, Not Taught'을 정한 이유는 두가지입니다.
첫째는, 두 책의 제목 중에서 'CATCH'라는 단어가 들어가 있어서 인데 J.D.샐린저 책에서는 'CATCHER' '붙잡는 자'로.... 김요셉목사님의 책에서는 'CAUGHT' '붙잡히는 자'로 묘사되어 있는 것이 너무 흥미로왔습니다.
둘째는, 절벽 끝에 놓여 청소년들에게 결국 TEACHING 말 (잔소리)로 구출해 낼 수 있는 것이 아니라 LIVING 삶 (말과 생활의 일치)으로 저들의 인생을 지켜낼 수 있다는 것입니다.
참 흥미롭게도 오늘 2020년 9월 2일에 '오두막 85번째 이야기' 영상을 만들 때 김요셉목사님의 책 내용 중에서 '9월 2일' '기도의 날' 이야기가 있어서 깜짝 놀랬습니다.
중앙기독초등학교가 기도로 세워지는 학교가 되기 위한 '기도의 씨앗'을 심은 '최형석선생님의 마지막 유언'은 제 가슴에 눈물을 심어주셨습니다.
""우리 학교가 기도하는 학교가 되게 해 주세요." 2004년 9월 2일, 최선생님은 마지막 유언을 남기고 발병한지 1년 만에 우리 곁을 떠나 하나님 품으로 갔다."
저도 홀든의 소망처럼 저 역시 '호밀밭의 CATCHER 파수꾼'이 되고 싶습니다. 그리고 김요셉목사님의 소망처럼 '파수꾼'이 될 때 나의 '말만'이 아니라 '삶으로도' 절벽 끝에 놓여 있는 아이들을 주님의 십자가에 'CAUGHT 잡히게' 하고 싶습니다.
최형석선생님을 한번도 뵌 적은 없지만 선생님의 유언처럼 매년 9월 2일 오늘을 제 인생의 '기도의 날'로 정하고 살아가리라 '유언과 같은 결심'을 글로 남깁니다.
 
 
 
 
 
 
 
이용우, Eun Kook Kim, 외 18명
댓글 6개
좋아요
댓글 달기
공유하기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0 오두막 161번째 이야기 전우철 2023.03.10 41
39 오두막 162번째 이야기 전우철 2023.03.10 51
38 오두막 163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양태자 박사의 ‘중세의 뒷골목 풍경’이고, 신앙서적은 이길용 교수의 ‘루터’입니다. 전우철 2023.03.10 49
37 오두막 164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이항심 교수의 '시그니처'(SIGNATURE)이고, 신앙서적은 허천회 박사의 '웨슬리의 생애와 신학' 입니다. 전우철 2023.03.10 40
36 오두막 165번째 이야기 -일반 서적은 최석호 교수의 '골목길 역사산책: 한국사편’이고, 신앙 서적은 데이비드 플랫 목사의 ‘복음이 울다’입니다. 전우철 2023.03.10 50
35 오두막 166번째 이야기 - 일반 서적은 나카노 노부코 교수의 ‘정의 중독’이고, 신앙서적은 윤석길 교수의 ‘질문하며 읽는 바울신학’입니다. 전우철 2023.03.10 45
34 오두막 167번째 이야기 - 일반 서적은 말콤 글래드웰의 ‘어떤 선택의 재검토’이고, 신앙 서적은 차준희 교수의 ‘성도가 묻고 성경이 답하다’입니다 전우철 2023.03.10 47
33 오두막 168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박은미 교수의 ‘쇼펜하우어의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이고, 신앙서적은 최동규 교수의 ‘포스트모던 시대의 목회’입니다 전우철 2023.03.10 39
32 오두막 169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C.S.루이스 교수의 ‘책 읽는 삶’이고, 신앙서적은 강준민 목사의 ‘목회자의 글쓰기’입니다. 전우철 2023.03.10 78
31 오두막 170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미하엘 하우스켈러의 ‘왜 살아야 하는가’이고 신앙서적은 전대진의 ‘하나님, 저 잘 살고 있나요?’입니다. 전우철 2023.03.10 67
30 오두막 171번째 이야기 - 일반 서적은 김성현 목사의 ‘노랑 생각’이고, 신앙 서적은 마르틴 행엘 교수의 ‘초기 기독교의 사회경제사상’입니다. 전우철 2023.03.10 60
29 오두막 172번째 이야기 - 일반 서적은 김재식 작가의 ‘홀로 서는 시간’이고, 신앙 서적은 차준희 교수의 ‘시인의 영성 2’입니다. 전우철 2023.03.10 76
28 오두막 173번째 이야기 - 일반 서적은 니콜로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이고, 신앙 서적은 지형은 목사의 ‘인용구(Quotation)’입니다. 전우철 2023.03.10 66
27 오두막 174번째 이야기 전우철 2023.03.10 51
26 오두막 175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밀란 쿤데라의 '무의미의 축제'이고, 신앙서적은 팀 켈러의 '인생질문'입니다. 전우철 2023.03.10 56
25 오두막 176번째 이야기 - 일반 서적은 이묵돌 작가의 ‘천재들은 파란색으로 기억된다’이고, 신앙 서적은 김기현 목사의 ‘욥, 까닭을 묻다’입니다. 전우철 2023.03.10 85
24 오두막 177번째 이야기 -일반 서적은 진성섭 작가의 ‘콤플렉스로 읽는 그리스 신화’이고, 신앙 서적은 강준민 목사의 ‘리더의 고독’입니다. 전우철 2023.03.10 104
23 오두막 178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롤프 젤린의 ‘나는 단호해지기로 결심했다’이고, 신앙서적은 메이블 윌리엄슨의 '우리에게 마음대로 살 권리가 있는가'입니다 전우철 2023.03.10 110
22 오두막 179번째 이야기 - '일반 서적은 최인철 교수의 '프레임'이고, 신앙 서적은 제임스 패커 목사의 '하나님을 아는 지식'입니다. 전우철 2023.05.08 108
21 180번째 오두막 이야기 - 일반 서적은 강영안 교수의 ‘읽는다는 것’이고, 신앙 서적은 코넬리우스 플랜팅가 Jr 교수의 ‘설교자의 서재’입니다. 전우철 2023.05.22 102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