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오두막 (5분에 책 두권 막 읽어주는 목사) Reading Pastor

오두막 87번째 이야기 - '3:269' (Omission)
오늘소개하는 일반서적은 송원석 정명효 작가님들이 쓰신 '사라져 가는 것들에 대하여'라는 책이고, 신앙서적은 달라스 윌라드의 '잊혀진 제자도'라는 책입니다.
송원석 정명효 작가님들은 마치 '응답하라 1988' (보지는 못했지만^^)와 같이 과거에는 있었지만 지금은 존재하지 않는 것에 대한 추억을 하나하나 찾아서 글로 적었습니다.
제1부에서는 '지금 사라져 가는 것들'에 대하여 제2부에서 '멀어져 가는 것은 모두'에 대하여 기록하고 있는데 예를들면 '펜팔, 가요책, 지하철에서 신문보는 사람들, 1등하면 짜장면 먹는 날 등 과거에는 있었지만 지금은 없는 것들 입니다.
특별히 책을 읽으면서 제 가슴에 크게 공감되었던 '지금 사라진 것'은 매일 오후 5시면 가던 길을 멈추고 태극기를 보면서 외우던 '국기에 대한 맹세' 이야기였습니다.
작가님의 생각과 동일하게 그때는 웬지 '태극기'를 보면서 '국기에 대한 맹세'를 하는 것이 간혹 짜증나기도 하였지만 (특별히 초등학교 때 운동장에서 축구하다가 중단되어서^^) 가슴에 손을 얹고 맹세를 할 때마다 정말
"조국과 민족의 무궁한 발전을 위하여"
"몸과 마음을 바쳐 충성을 다할 것을"
굳게 다짐하는 날이 참 많았었습니다. 지금은 '사라져 버린 추억'이긴 하지만 말입니다.
여기에 대한 신앙서적 '잊혀진' 제자도에서 USC 철학과 교수인 달라스 윌라드는 좀 다른 차원의 '잊혀짐' '사라짐' '누락되어져가는' 것에 대하여 강하게 '경고'하는 메세지를 말하고 있습니다.
'잊혀짐'이란 단지 '사라짐'이 되고 '추억'이 되는 것만 있는 것이 아니라 '의미'가 달라지고 '정체성'이 상실되어서 전혀 다른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는 것입니다.
대표적인 예가 마태복음 28:19-20 말씀인 Great Commission입니다.
대한민국 국민들이라면 당연히 위워왔던 '국기에 대한 맹세'처럼 크리스챤이라면 마땅히 외우고, 또 외웠던 '대사명'인 Great Commission이 Great Omission이 될 때 '위대한 누락'이라는 슬픈 뜻이 된다는 것입니다.
그렇습니다. '국기에 대한 맹세'를 미국에 온지 30년이 다 되어도 기억하고 있는 '전목사'가 가끔 'Great Commission'을 깜빡깜빡 한다는 것은 목사로서 굉장히 부끄러운 일이고, 부끄러움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예수님이 유언으로 주신 '대사명'을 '잊어버리는' 죄 (감히 제 자신에게는 이렇게 말하고 싶네요) 를 짓고 있다는 것에 큰 자괴감을 갖게 됩니다.
달라스 윌라드는 자신의 책 '잊혀진 제자도'에서 많은 부분을 제게 도전과 찔림을 주지만 특별히 '2:269' 비율입니다.
그렇습니다. 신약성경에서는 '크리스챤'이라는 단어는 단지 3번 밖에 인용되지 않고 있는 반면에 '제자'라는 단어는 무려 '269'번이나 예수님과 사도들이 사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나를 비롯한 목사들'은 성도들을 '제자'로 만들기 보다는 그저 '크리스챤'으로 세워가는 것에 멈추는 것이 참 부끄러울 뿐입니다.
이 두 책을 통해 '국가에 대한 맹세'는 잊버어리더라도 (왜 국가에 대한 맹세가 생겼는지에 대한 이유는 모두 알리라 생각하고) 잊고있던 '대사명' 'Great Commission'은 절대 잊지 말고 예수님의 유언인 '제자도'를 이루어 드리는 우리가 되기를 소망합니다.
Great Omission (위대한 누락)이 아니라 Great Commission (대사명) 으로 오늘 하루도 살아가기를 기도합니다.
 
 
 
 
 
 
 
전 기철, 박성민, 외 15명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0 오두막 140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케런 리날디의 ‘나는 파도에서 넘어지며 인생을 배웠다’ 이고, 신앙서적은 존 오트보그의 ‘물 위를 걸으려면 단순하게 믿으라’ 입니다. 정안젤라 2021.04.14 75
99 오두막 144번째 이야기 -일반서적은 민카 켄트의 '내가 너였을 때'이고, 신앙서적은 밥 소르기의 '하나님이 당신의 이야기를 쓰고 계신다'입니다. 정안젤라 2021.04.14 75
98 오두막 149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조현의 '우린 다르게 살기로 했다'이고, 신앙서적은 A.W.토저의 '세상과 충돌하라'입니다. 정안젤라 2021.04.14 75
97 오두막 100번째 이야기 - 'Only Book 최고의 책' 전우철 2020.09.30 76
96 오두막 120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요한 볼프강 폰 괴테'의 '파우스트'이고, 신앙서적은 필립 얀시의 '내 영혼의 스승들' 입니다. 전우철 2020.11.17 76
95 오두막 172번째 이야기 - 일반 서적은 김재식 작가의 ‘홀로 서는 시간’이고, 신앙 서적은 차준희 교수의 ‘시인의 영성 2’입니다. 전우철 2023.03.10 76
94 오두막 147번째 이야기 - 일반 서적은 장 그르니에의 ‘일상적인 삶’이고, 신앙 서적은 유승준의 ‘다시, 돌아갈 수 있을까’입니다. 정안젤라 2021.04.14 77
93 오두막 110번째 이야기 -일반서적은 프레드릭 배크안의 '오베라는 남자'이고, 신앙서적은 켄 시게마츠의 '상황에 끌려다니지 않기로 했다' 입니다. 전우철 2020.11.17 78
92 오두막 125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심판'이고, 신앙서적은 박성일교수님의 'C.S.루이스가 만난 그리스도' 입니다. 전우철 2020.11.27 78
91 오두막 169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C.S.루이스 교수의 ‘책 읽는 삶’이고, 신앙서적은 강준민 목사의 ‘목회자의 글쓰기’입니다. 전우철 2023.03.10 78
90 오두막 127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플라톤의 '소크라테스의 대화록'이고, 신앙서적은 조재형교수님의 '초기 그리스도교와 영지주의' 입니다. 전우철 2020.12.07 84
89 오두막 137번째 이야기 -일반서적은 알란 캐스터의 '나이듦의 이로움' 이고, 폴 스티븐슨의 '나이듦의 신학' 입니다. 정안젤라 2021.04.14 84
88 오두막 176번째 이야기 - 일반 서적은 이묵돌 작가의 ‘천재들은 파란색으로 기억된다’이고, 신앙 서적은 김기현 목사의 ‘욥, 까닭을 묻다’입니다. 전우철 2023.03.10 85
87 '청년' - 90년생이 온다 (임홍택) / 예수운동은 청년메시아운동 이었다 (허천회) [2] 전우철 2020.03.26 89
86 '걱정' - 걱정 없는 삶 (린다 민들) / 구원의 허리를 동이고 (김성원) 전우철 2020.04.01 93
85 오두막 76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김수민 작가님의 ‘너라는 위로’이고, 신앙서적은 더그뮤렌 목사님의 ‘치유하는 교회’ 입니다. 전우철 2020.08.17 94
84 '가족' - 당신이 옳다 (정혜신) / 유대인의 눈으로 본 예수 (데이빗 비번) 전우철 2020.03.25 99
83 'Why Love' - 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 (알랭 드 보통) / 네가지 사랑 (C.S 루이스) 전우철 2020.04.22 100
82 180번째 오두막 이야기 - 일반 서적은 강영안 교수의 ‘읽는다는 것’이고, 신앙 서적은 코넬리우스 플랜팅가 Jr 교수의 ‘설교자의 서재’입니다. 전우철 2023.05.22 102
81 181번째 오두막 이야기 - 일반 서적은 단테의 '신곡'이고, 신앙 서적은 프랜시스 첸의 '지옥은 없다?'입니다. 전우철 2023.05.22 102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