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오두막 (5분에 책 두권 막 읽어주는 목사) Reading Pastor

오두막 87번째 이야기 - '3:269' (Omission)
오늘소개하는 일반서적은 송원석 정명효 작가님들이 쓰신 '사라져 가는 것들에 대하여'라는 책이고, 신앙서적은 달라스 윌라드의 '잊혀진 제자도'라는 책입니다.
송원석 정명효 작가님들은 마치 '응답하라 1988' (보지는 못했지만^^)와 같이 과거에는 있었지만 지금은 존재하지 않는 것에 대한 추억을 하나하나 찾아서 글로 적었습니다.
제1부에서는 '지금 사라져 가는 것들'에 대하여 제2부에서 '멀어져 가는 것은 모두'에 대하여 기록하고 있는데 예를들면 '펜팔, 가요책, 지하철에서 신문보는 사람들, 1등하면 짜장면 먹는 날 등 과거에는 있었지만 지금은 없는 것들 입니다.
특별히 책을 읽으면서 제 가슴에 크게 공감되었던 '지금 사라진 것'은 매일 오후 5시면 가던 길을 멈추고 태극기를 보면서 외우던 '국기에 대한 맹세' 이야기였습니다.
작가님의 생각과 동일하게 그때는 웬지 '태극기'를 보면서 '국기에 대한 맹세'를 하는 것이 간혹 짜증나기도 하였지만 (특별히 초등학교 때 운동장에서 축구하다가 중단되어서^^) 가슴에 손을 얹고 맹세를 할 때마다 정말
"조국과 민족의 무궁한 발전을 위하여"
"몸과 마음을 바쳐 충성을 다할 것을"
굳게 다짐하는 날이 참 많았었습니다. 지금은 '사라져 버린 추억'이긴 하지만 말입니다.
여기에 대한 신앙서적 '잊혀진' 제자도에서 USC 철학과 교수인 달라스 윌라드는 좀 다른 차원의 '잊혀짐' '사라짐' '누락되어져가는' 것에 대하여 강하게 '경고'하는 메세지를 말하고 있습니다.
'잊혀짐'이란 단지 '사라짐'이 되고 '추억'이 되는 것만 있는 것이 아니라 '의미'가 달라지고 '정체성'이 상실되어서 전혀 다른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는 것입니다.
대표적인 예가 마태복음 28:19-20 말씀인 Great Commission입니다.
대한민국 국민들이라면 당연히 위워왔던 '국기에 대한 맹세'처럼 크리스챤이라면 마땅히 외우고, 또 외웠던 '대사명'인 Great Commission이 Great Omission이 될 때 '위대한 누락'이라는 슬픈 뜻이 된다는 것입니다.
그렇습니다. '국기에 대한 맹세'를 미국에 온지 30년이 다 되어도 기억하고 있는 '전목사'가 가끔 'Great Commission'을 깜빡깜빡 한다는 것은 목사로서 굉장히 부끄러운 일이고, 부끄러움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예수님이 유언으로 주신 '대사명'을 '잊어버리는' 죄 (감히 제 자신에게는 이렇게 말하고 싶네요) 를 짓고 있다는 것에 큰 자괴감을 갖게 됩니다.
달라스 윌라드는 자신의 책 '잊혀진 제자도'에서 많은 부분을 제게 도전과 찔림을 주지만 특별히 '2:269' 비율입니다.
그렇습니다. 신약성경에서는 '크리스챤'이라는 단어는 단지 3번 밖에 인용되지 않고 있는 반면에 '제자'라는 단어는 무려 '269'번이나 예수님과 사도들이 사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나를 비롯한 목사들'은 성도들을 '제자'로 만들기 보다는 그저 '크리스챤'으로 세워가는 것에 멈추는 것이 참 부끄러울 뿐입니다.
이 두 책을 통해 '국가에 대한 맹세'는 잊버어리더라도 (왜 국가에 대한 맹세가 생겼는지에 대한 이유는 모두 알리라 생각하고) 잊고있던 '대사명' 'Great Commission'은 절대 잊지 말고 예수님의 유언인 '제자도'를 이루어 드리는 우리가 되기를 소망합니다.
Great Omission (위대한 누락)이 아니라 Great Commission (대사명) 으로 오늘 하루도 살아가기를 기도합니다.
 
 
 
 
 
 
 
전 기철, 박성민, 외 15명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0 오두막 101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이항심교수님의 '시그니처'(SIGNATURE)이고, 신앙서적은 허천회교수님의 '웨슬리의 생애와 신학' 입니다. 전우철 2020.09.30 67
99 오두막 102번째 이야기 -일반서적은 박웅현 작가의 '여덟 단어'이고, 신앙서적은 윌리엄스틸 목사의 '목사의 길'입니다. 전우철 2020.10.02 207
98 오두막 103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박웅현 작가님의 ‘책은 도끼다’이고, 신앙서적은 오스왈드 챔버스의 ‘하나님께 인정받는 사역자’입니다 전우철 2020.10.02 71
97 오두막 104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조나단 스위프트의 ‘걸리버 여행기’이고, 신앙서적은 티시 해리슨 워런의 ‘오늘이라는 예배’ 입니다. 전우철 2020.10.08 74
96 오두막 105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위기철 작가의 ‘아홉살 인생’이며, 신앙서적은 조이 도우슨의 ‘아이들에게 물려 줄 최고의 유산’ 입니다. 전우철 2020.10.08 52
95 오두막 106번째 이야기 -일반서적은 황지우 시인의 '어느 날 나는 흐린 주점에 앉아 있을 거다'이고, 신앙서적으로는 헨리 나우웬의 '춤추시는 하나님'입니다. 전우철 2020.10.08 208
94 오두막 107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문유석 판사님이 쓴 ‘개인주의자 선언’이고, 신앙서적은 옥타비우스 윈슬로우가 쓴 ‘예수생각’ 입니다 전우철 2020.10.09 74
93 오두막 108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밀란 쿤데라의 '농담'이고, 신앙서적은 존 파이퍼의 '하나님의 방법대로 설교하십니까' 입니다 전우철 2020.10.14 71
92 오두막 109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에번 카마이클의 '한 단어의 힘'이고, 신앙서적은 존 맥아더의 '예배' (우리는 예배 드리기 위해 구원받았다) 입니다 전우철 2020.10.14 65
91 오두막 110번째 이야기 -일반서적은 프레드릭 배크안의 '오베라는 남자'이고, 신앙서적은 켄 시게마츠의 '상황에 끌려다니지 않기로 했다' 입니다. 전우철 2020.11.17 78
90 오두막 111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이성복 시인의 '달의 이마에는 물결무늬 자국'이고, 신앙서적은 크리스티 김의 '인생의 응어리를 풀라' 입니다. 전우철 2020.11.17 72
89 오두막 112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칼 세이건의 '코스모스'이고, 신앙서적은 알리스터 맥그래스의 '우주의 의미를 찾아서' 입니다. 전우철 2020.11.17 58
88 오두막 113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히가시노 게이고의 '공허한 십자가'이고, 신앙서적은 마르틴 엥엘의 '십자가 처형' 입니다. 전우철 2020.11.17 57
87 오두막 114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강민호 작가님의 'Back To The BASIC' (변하는 것과 변하지 않는 것)이고, 신앙서적은 존 스토트 목사님의 'BASIC Christianity' (기독교의 기본 진리)입니다. 전우철 2020.11.17 66
86 오두막 115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피터 스완슨의 '죽여 마땅한 사람들'이고, 신앙서적은 존 오웬의 '죄 죽임' 입니다. 전우철 2020.11.17 69
85 오두막 116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EBS 다큐프라임에서 출간한 '이야기의 힘'이고, 신앙서적은 크레이그 바르톨로뮤와 마이클 고힌이 쓴 '성경은 드라마다' 입니다. 전우철 2020.11.17 70
84 오두막이야기 117번째 이야기 -일반서적은 김난도 교수님의 '천번을 흔들려야 어른이 된다'이고, 신앙서적은 최동규 교수님의 '새로운 패러다임의 교회성장' 입니다. 전우철 2020.11.17 69
83 오두막 118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박신영 작가님의 '기획의 정석'이고, 신앙서적은 그레엄 골즈워디 교수님의 '복음과 하나님의 계획' 입니다. 전우철 2020.11.17 70
82 오두막 119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프리드리히 니체의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이고, 신앙서적은 필립 얀시의 '아, 내안에 하나님이 없다' 입니다. 전우철 2020.11.17 71
81 오두막 120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요한 볼프강 폰 괴테'의 '파우스트'이고, 신앙서적은 필립 얀시의 '내 영혼의 스승들' 입니다. 전우철 2020.11.17 76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