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오두막 (5분에 책 두권 막 읽어주는 목사) Reading Pastor

https://www.youtube.com/watch?v=YO70lR_ZWn8 오두막 97번째 이야기 - 'Korean-Christian, 그리고 문화와의 위태로운 관계' 오늘 소개하는 일반서적은 엄종열 원장님의 '그림으로 배우는 한국문화유산'이고, 신앙서적은 D.A.카슨 교수님의 '교회와 문화, 그 위태로운 관계'입니다. 먼저 일반서적의 저자인 엄종열원장님은 서울대 미대를 졸업하시고 미국으로 도미하신 후에 Korean-American으로 미국에서 살아가는 2세 자녀들에게 '한국전통문화의 우수성'을 심어주기 위하여 '민주한국 전통문화연구원'을 설립하셨습니다. 그리고 '한국전통문화의 우수성'을 알리시기 위하여 직접 그림작업을 하셔서 '그림으로 배우는 한국문화유산'이라는 교육서적을 출간하셨습니다. 더불어 신앙서적의 저자인 D.A.카슨 교수님은 트리니티신학교의 신약학 연구교수로서 '교회와 문화'라는 간극에서 긴장하며 살고 있는 모든 크리스챤들에게 '확고한 성경의 스토리라인의 이해'를 심어주기 위하여 '교회와 문화, 그 위태로운 관계'라는 책을 출간하게 되었습니다. D.A.카슨은 자신의 책 서론에서 설명하고 있듯이 먼저 '교회와 문화'라는 주제에 대하여 기독교윤리학자의 입장에서 책을 출간한 리챠드 니버교수의 책을 신약학자의 입장에서 비판하면서 위에서 언급한 '성경적 대안'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저는 이 두책을 함께 읽으면서 한가지 중요한 연관성을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두 나라' 엄종열원장님은 '한국'이라는 나라와 '미국'이라는 나라 사이에서 긴장하고 있는 우리 이민 자녀들에게 어떻게 하면 '100% Korean, 100% American으로 살아가게 할까'라는 고민을 책에서 볼 수 있었습니다. 반면에 D.A.카슨교수님은 '교회' (또는 Kingdom of God) 라는 나라와 '국가'라는 나라 사이에서 긴장하고 살아가는 크리스챤들에게 어떻게하면 '바른' 교회와 국가와의 상관관계를 심어줄 수 있는가를 책에서 피력하고 있습니다. D.A.카슨의 이야기를 좀더 설명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D.A.카슨은 리챠드 니버의 저서인 '그리스도와 문화'에서 설명하는 5중 페러다임 (문화와 대립하는 그리스도, 문화의 그리스도, 문화 위의 그리스도, 역설적 관계에 있는 그리스도와 문화, 문화의 변혁자 그리스도)에 전적으로 동의하지 않습니다. 특별히 서구유럽 백인남성 주의 입장에 서 있는 5중 패러다임은 다원화되어진 사회 특별히 포스트모더니즘의 시대를 온전히 담아내기에는 한계가 있음을 지적합니다. 그러면서 특별히 '문화의 그리스도'에 대해서는 '구속사적 입장'에서 철저히 배격하는 입장을 주장합니다. 다만 어떻게 해서든지 '그리스도'와 '문화'라는 긴장을 잘 풀어가기 위하여 노력하는 D.A.카슨의 글을 보면서 '과연 나는 목사로서' 이 세상을 어떻게 살아가고 있고, 또 교회는 과연 이 세상의 어떤 존재인가를 많이 반성하게 하였습니다. "우리는 어떤 의미에서 문화 자체는 그리스도의 권위 아래 있다고 주장하면서도, 다른의미에서 진정한 그리스도인들은 어떤 특수한 문화 속의 구체적인 한 부분을 구성한다." (p.117) D.A.카슨의 글에도 이야기하듯이 리챠드 니버의 5중 패러다임과 포스트모더니즘과의 관계를 풀어가는 시도는 사실 제4장에 소개하고 있는 '세속주의' '민주주의' '자유' '권력'에 대하여 교회와 크리스챤들은 어떻게 대처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준비단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책의 내용을 다 이곳에 설명할 수 없기에 '세속주의'에 대한 이야기만 잠깐 언급합니다. "현대의 문화적 취향에 적응하려는 대중의 본능적인 욕망은 조엘 오스틴 같은 사람들을 만들어 내고 있다. 이들은, 피상적으로는 성경에 기초를 두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기 때문에 쉽사리 성경에서 이탈한다. 동시에, 이러한 욕망은 성경보다는 현대의 문화적 문제들을 해결하는데서 자신들의 역할을 찾는 것을 훨씬 더 좋아하는 다영한 갈래의 '자유주의' 기독교를 만들어 내고 있다." (p.208) 그렇습니다. D.A.카슨 교수님의 입장에서 생각하면, '문화'는 결코 '복음'에 앞설수 없으면, 특별히 '성경적'이지 못한 어떤 문화적 시도는 결국 자신들도 인식하지 못하는 순간에 '자유주의' 입장에 서게 된다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아무쪼록 이 두 책을 통해 '한국인과 문화' '그리스도와 문화'라는 긴장감이 풀어지기를 소망합니다. 더불어서 결국 우리의 정체성은 '한국' 내지 '하나님의 영원한 나라'에 있음을 다시한번 깨닫고 '미국' 내지 '이 세상의 문화 속에서' 하나님의 다스림을 받으면서 동시에 이 세상의 구성원으로서 긴장은 되지만 '성경적으로' 넉넉히 100% Korean-American으로, 100% Children of God으로 살아가기를 소망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1 오두막 109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에번 카마이클의 '한 단어의 힘'이고, 신앙서적은 존 맥아더의 '예배' (우리는 예배 드리기 위해 구원받았다) 입니다 전우철 2020.10.14 69
» 오두막 97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엄종열 원장님의 '그림으로 배우는 한국문화유산'이고, 신앙서적은 D.A.카슨 교수님의 '교회와 문화, 그 위태로운 관계'입니다. 전우철 2020.09.23 69
159 오두막 148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미셸 겔펀드 교수의 ‘선을 지키는 사회, 선을 넘는 사회’이고, 신앙서적은 이정근 목사의 ‘목회자의 최고 표준 예수 그리스도’입니다. 정안젤라 2021.04.14 69
158 오두막 82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단테의 '신곡'이고, 신앙서적은 프랜시스 첸의 '지옥은 없다?'입니다. 전우철 2020.09.07 70
157 오두막 86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문영미교수님의 '디퍼런트' Different 라는 책이고, 신앙서적은 블레인 앨런 목사님의 '그만두고 싶은 목사, 그만둘 수 없는 목회' Before You Quit 입니다. 전우철 2020.09.07 70
156 오두막 143번째 이야기 -일반서적은 에카르트 폰 히르슈하우젠의 '행복은 혼자 오지 않는다'이고, 신앙서적은 러셀 무어의 '폭풍 속의 가정'입니다. 정안젤라 2021.04.14 70
155 오두막 145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이노우에 히로유키의 ‘내가 찾던 것들은 늘 내 곁에 있었다’이고, 신앙서적은 숀 러브조이의 ‘목회의 진실’입니다. 정안젤라 2021.04.14 70
154 오두막 182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데일 카네기의 인간 관계론이고, 신앙서적은 팀&조이 다운스의 '부부싸움의 은혜' 입니다. 전우철 2023.08.11 70
153 오두막 95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로버트 루트번스타인과 미셸 루투번스타인의 ‘생각의 탄생’이고, 신앙서적은 필립 얀시의 ‘수상한 소문’입니다. 전우철 2020.09.18 71
152 오두막 69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통계학 분야의 세계적 석학이신 한스 로슬링의 'Factfullness/사실충실성'이고, 신앙서적은 이시대의 선지자이자 최고의 설교가인 A.W토저의 '하나님의 길에 우연은 없다' 입니다. 전우철 2020.08.14 71
151 오두막 129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조정래작가님의 '홀로 쓰고, 함께 살다'이고, 신앙서적은 본회퍼의 '성도의 공동생활' 입니다. 전우철 2020.12.07 71
150 오두막 130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최재천교수외 5명의 '코로나 사피엔스' 이고, 신앙서적은 톰 라이트의 '시대가 묻고 성경이 답하다' 입니다. 전우철 2020.12.22 71
149 오두막 150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김형석 명예교수의 ‘기독교, ( 아직 ) 희망이 있는가?’이고, 신앙서적은 존 파이퍼 목사외 8인의 ‘복음, 자유를 선포하다’입니다. file 정안젤라 2021.04.14 71
148 오두막 170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미하엘 하우스켈러의 ‘왜 살아야 하는가’이고 신앙서적은 전대진의 ‘하나님, 저 잘 살고 있나요?’입니다. 전우철 2023.03.10 71
147 오두막 68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김용섭 작가님이 쓰신 ‘언컨택트’이고, 신앙서적은 챨스 스펄전 목사님이 쓰신 ‘결정적 한걸음’ 입니다. 전우철 2020.08.14 72
146 오두막 84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조지 오엘의 ‘동물농장’이고, 신앙서적은 김명용교수님의 ‘칼 바르트의 신학’입니다. 전우철 2020.09.07 72
145 오두막 136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비벡 머시의 '우리는 다시 연결되어야 한다' 이고, 신앙서적은 코르넬리스 프롱크의 '예수 그리스도 외에 다른 터는 없네' 정안젤라 2021.04.14 72
144 오두막 146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롤프 젤린의 ‘나는 단호해지기로 결심했다’이고, 신앙서적은 메이블 윌리엄슨의'우리에게 마음대로 살 권리가 있는가'입니다. 정안젤라 2021.04.14 72
143 오두막 91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사노 요코의 ‘사는게 뭐라고’ 이고, 신앙서적은 래리 오스본의 ‘바벨론에서 그리스도인으로 살기’ 입니다. 전우철 2020.09.11 73
142 오두막 142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벤 티글러의 '래더'이고, 신앙서적은 챨스 스펄전 목사님의 '스펄전의 목사론'입니다. 정안젤라 2021.04.14 73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