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오두막 (5분에 책 두권 막 읽어주는 목사) Reading Pastor

https://www.youtube.com/watch?v=YO70lR_ZWn8 오두막 97번째 이야기 - 'Korean-Christian, 그리고 문화와의 위태로운 관계' 오늘 소개하는 일반서적은 엄종열 원장님의 '그림으로 배우는 한국문화유산'이고, 신앙서적은 D.A.카슨 교수님의 '교회와 문화, 그 위태로운 관계'입니다. 먼저 일반서적의 저자인 엄종열원장님은 서울대 미대를 졸업하시고 미국으로 도미하신 후에 Korean-American으로 미국에서 살아가는 2세 자녀들에게 '한국전통문화의 우수성'을 심어주기 위하여 '민주한국 전통문화연구원'을 설립하셨습니다. 그리고 '한국전통문화의 우수성'을 알리시기 위하여 직접 그림작업을 하셔서 '그림으로 배우는 한국문화유산'이라는 교육서적을 출간하셨습니다. 더불어 신앙서적의 저자인 D.A.카슨 교수님은 트리니티신학교의 신약학 연구교수로서 '교회와 문화'라는 간극에서 긴장하며 살고 있는 모든 크리스챤들에게 '확고한 성경의 스토리라인의 이해'를 심어주기 위하여 '교회와 문화, 그 위태로운 관계'라는 책을 출간하게 되었습니다. D.A.카슨은 자신의 책 서론에서 설명하고 있듯이 먼저 '교회와 문화'라는 주제에 대하여 기독교윤리학자의 입장에서 책을 출간한 리챠드 니버교수의 책을 신약학자의 입장에서 비판하면서 위에서 언급한 '성경적 대안'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저는 이 두책을 함께 읽으면서 한가지 중요한 연관성을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두 나라' 엄종열원장님은 '한국'이라는 나라와 '미국'이라는 나라 사이에서 긴장하고 있는 우리 이민 자녀들에게 어떻게 하면 '100% Korean, 100% American으로 살아가게 할까'라는 고민을 책에서 볼 수 있었습니다. 반면에 D.A.카슨교수님은 '교회' (또는 Kingdom of God) 라는 나라와 '국가'라는 나라 사이에서 긴장하고 살아가는 크리스챤들에게 어떻게하면 '바른' 교회와 국가와의 상관관계를 심어줄 수 있는가를 책에서 피력하고 있습니다. D.A.카슨의 이야기를 좀더 설명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D.A.카슨은 리챠드 니버의 저서인 '그리스도와 문화'에서 설명하는 5중 페러다임 (문화와 대립하는 그리스도, 문화의 그리스도, 문화 위의 그리스도, 역설적 관계에 있는 그리스도와 문화, 문화의 변혁자 그리스도)에 전적으로 동의하지 않습니다. 특별히 서구유럽 백인남성 주의 입장에 서 있는 5중 패러다임은 다원화되어진 사회 특별히 포스트모더니즘의 시대를 온전히 담아내기에는 한계가 있음을 지적합니다. 그러면서 특별히 '문화의 그리스도'에 대해서는 '구속사적 입장'에서 철저히 배격하는 입장을 주장합니다. 다만 어떻게 해서든지 '그리스도'와 '문화'라는 긴장을 잘 풀어가기 위하여 노력하는 D.A.카슨의 글을 보면서 '과연 나는 목사로서' 이 세상을 어떻게 살아가고 있고, 또 교회는 과연 이 세상의 어떤 존재인가를 많이 반성하게 하였습니다. "우리는 어떤 의미에서 문화 자체는 그리스도의 권위 아래 있다고 주장하면서도, 다른의미에서 진정한 그리스도인들은 어떤 특수한 문화 속의 구체적인 한 부분을 구성한다." (p.117) D.A.카슨의 글에도 이야기하듯이 리챠드 니버의 5중 패러다임과 포스트모더니즘과의 관계를 풀어가는 시도는 사실 제4장에 소개하고 있는 '세속주의' '민주주의' '자유' '권력'에 대하여 교회와 크리스챤들은 어떻게 대처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준비단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책의 내용을 다 이곳에 설명할 수 없기에 '세속주의'에 대한 이야기만 잠깐 언급합니다. "현대의 문화적 취향에 적응하려는 대중의 본능적인 욕망은 조엘 오스틴 같은 사람들을 만들어 내고 있다. 이들은, 피상적으로는 성경에 기초를 두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기 때문에 쉽사리 성경에서 이탈한다. 동시에, 이러한 욕망은 성경보다는 현대의 문화적 문제들을 해결하는데서 자신들의 역할을 찾는 것을 훨씬 더 좋아하는 다영한 갈래의 '자유주의' 기독교를 만들어 내고 있다." (p.208) 그렇습니다. D.A.카슨 교수님의 입장에서 생각하면, '문화'는 결코 '복음'에 앞설수 없으면, 특별히 '성경적'이지 못한 어떤 문화적 시도는 결국 자신들도 인식하지 못하는 순간에 '자유주의' 입장에 서게 된다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아무쪼록 이 두 책을 통해 '한국인과 문화' '그리스도와 문화'라는 긴장감이 풀어지기를 소망합니다. 더불어서 결국 우리의 정체성은 '한국' 내지 '하나님의 영원한 나라'에 있음을 다시한번 깨닫고 '미국' 내지 '이 세상의 문화 속에서' 하나님의 다스림을 받으면서 동시에 이 세상의 구성원으로서 긴장은 되지만 '성경적으로' 넉넉히 100% Korean-American으로, 100% Children of God으로 살아가기를 소망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1 '죽음' - 어떻게 살 것인가 (유시민) / 따미탕 (전영규) 전우철 2020.03.27 172
40 'The Book 내 인생의 책' - 잘못은 우리 별에 있어 (존 그린) / 삶을 위한 신학 (앨리스터 맥그래스) [2] 전우철 2020.05.07 172
39 '걷는 만큼 보이는 역사' -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 (유홍준) / 골목길 역사산책 (최석호) 전우철 2020.06.30 172
38 '남북통일을 위한 기도'' - 나쁜 사마리아인들(장하준)/대천덕신부의 통일을 위한 코이노니아'(대천덕) 전우철 2020.05.12 173
37 '기다림' - 사람사전 (정철) / 열 두 예언자의 영성 (차준희) 전우철 2020.05.22 174
36 'Logo-Therapy 로고 테라피 vs 로고스 테라피' - 빅터 프랭클의 죽음의 수용소에서 (빅터 브랭클) / 약함이 길이다 (제임스 패커) 전우철 2020.07.24 176
35 '세속공간을 변화시키는 것' - 신인류와 문화콘텐츠 그리고 대중문화 (이길용) / 이머징 교회 (에디깁스/라이언볼저) 전우철 2020.05.04 177
34 오두막 186번째 이야기 – 일반 서적은 케런 리날디의 ‘나는 파도에서 넘어지며 인생을 배웠다’ 이고, 신앙 서적은 존 오트보그의 ‘물 위를 걸으려면 단순하게 믿으라’ 입니다. 전우철 2023.08.11 177
33 'Transformation의 크기는, Information의 크기에 달려있다' - 뉴스의 시대 (알랭 드 보통) / 말씀묵상과 예수님을 닮아가는 삶 (강준민) 전우철 2020.05.05 179
32 오두막 188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존 밀턴의 '실락원'이고, 신앙 서적은 존 비비어의 '순종'입니다. 전우철 2023.08.11 190
31 'Sink Hole 한국교회에 싱크홀이 생겼습니다' - 이교에 물든 기독교 (프랭크 바이올라/조지 바나) / 미셔널 처치 (최동규) 전우철 2020.05.15 192
30 오두막 133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황동규의 '오늘 하루만이라도'이고, 신앙서적은 헬무트 틸리케의'현실과 믿음 사이' 입니다. 전우철 2020.12.22 193
29 'Undertaker 장의사'' - 사피엔스 (유발 하라리) / 신을 죽이려는 사람들 (존 레녹스) 전우철 2020.06.12 196
28 오두막 102번째 이야기 -일반서적은 박웅현 작가의 '여덟 단어'이고, 신앙서적은 윌리엄스틸 목사의 '목사의 길'입니다. 전우철 2020.10.02 208
27 오두막 106번째 이야기 -일반서적은 황지우 시인의 '어느 날 나는 흐린 주점에 앉아 있을 거다'이고, 신앙서적으로는 헨리 나우웬의 '춤추시는 하나님'입니다. 전우철 2020.10.08 208
26 'POLITEIA 국가란 무엇인가?' - 국가론 (플라톤) / 뭐야, 예수 믿는다구? (이정근) 전우철 2020.06.03 209
25 '마지막때, 우리는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가?' - 백만장자의 마지막 질문 (김용규), 잊혀진 질문 (차동엽) / 친절한 계시록 (정은일) 전우철 2020.06.11 211
24 '만족' - 나는 둔감하게 살기로 했다 (와다나베 준이치) / '단기선교에서 배우는 하나님' (전희근) [2] 전우철 2020.04.02 213
23 'The Radical Disciple 함께 있는 것이 보냄을 받는 것 보다 더 우선순위입니다' - 1cm+ (김은주) 1cm다이빙 (태수 문정) / 제자도 (윤석길) 제자도 (존 스토트) 전우철 2020.06.17 218
22 '파스칼과 죠나단 에드워즈' - 팡세 (블레즈 파스칼) / 놀라운 부흥과 회심 이야기 (죠나단 에드워즈) 전우철 2020.07.17 22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