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오두막 (5분에 책 두권 막 읽어주는 목사) Reading Pastor

https://www.youtube.com/watch?v=mL9tXfKTfZo 오두막 101번째 이야기 - 'SIGNATURE, 자기다움의 즐거움' 오늘 소개하는 일반서적은 이항심교수님의 '시그니처'(SIGNATURE)이고, 신앙서적은 허천회교수님의 '웨슬리의 생애와 신학' 입니다. 저는 지난주일 예배를 드리면서 코로나 바이러스 기간에 3가지 귀한 경험을 하였습니다. 첫번째는, 성도님들의 건강을 위하여 강대상에 아크릴 스크린을 치고 그리고 마스크를 쓰고 설교를 해 보았습니다. 참 쉽지 않았습니다. 두번째는, 코로나 바이러스 기간임에도 불구하고 선배교수인 김보경집사님 (Rowan University) 의 손에 이끌리어 교회라곤 처음 와 보는 후배 이소영교수님이 주일예배에 나왔습니다. 참 반가왔었습니다. 세번째는, 지난주일 예배를 마치자마자 UScience 대학교 (University of The Sciences) 교수님으로 계시는 김성욱집사님께서 오두막 100주년 성격의 선물로 유학생활 동기인 건국대학교 이항심교수님이 쓰신 '시그니처'라는 책을 선물로 주었습니다. 참 행복했습니다. 정말 책 제목처럼 지난주일은 '시그니처' 한 주일이었습니다. 이항심교수님의 책은 정말 코로나바이러스 기간에 꼭 읽어보아야 할 필독서이라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특별히 목회자의 길을 ‘소명’ 받은 길이라고 생각하는 목사들에게는 더욱 그러합니다. 이교수님은 진로심리학 입장에서 '일'을 JOB(생업), CAREER(경력), CALLING(소명) 세가지로 구분합니다. “먼저 일을 JOB으로 바라보는 관점은 일이란 삶을 유지하기 위한 필수조건이자 먹고살기 위한 경제적 수단이라 여긴다. 일을 CAREER로 바라보는 관점에서 일은 경제적 수단일 뿐 아니라 자아실현의 수단이기도 하다... 마지막으로 일을 CALLING으로 바라보는 관점이 있다. 일을 CALLING으로 바라보는 사람들에게 일이한 자신의 정체성이자 자신이 추구하는 하는 삶의 가치와 의미가 반영되어 있다." (pp.53-54) 그러면서 이항심교수는 미국에서 일할 때 알게 된 심리학자인 Ryan Duffy 교수의 '소명에 관한 연구'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소명을 가지는 것 vs 소명으로 살아가는 것'! "일터의 행복을 높이는 법에 관해 토론하면서 그는 소명을 가지고 있는 것과 소명으로 살아가는 것의 차이를 설명했다. 그의 비유에 따르면, 소명을 가지고 있는 것은 좋은 차를 주차장에 넣어 두는 것이고, 소명으로 살아가는 것은 좋은 차를 실제로 운전하며 이곳저곳 다니는 것이다." (pp.155-156) 이 책을 읽으면서 내 자신에게 스스로 이런 질문을 던졌습니다. '난 CALLING을 가지고 있는 목사인가, 아니면 CALLING으로 살아가는 목사인가?' '난 목회자라는 좋은차를 파킹장에 넣어둔 목사인가, 아니면 목회자라는 좋은차를 타고 이곳저곳 달리고 있는 목사인가?' 정말 큰 도전을 받았습니다. 그런데 ‘콜링’에 대한 내용보다 더 큰 자극을 받은 부분이 있습니다. 그것은 책 제목인 ‘시그니처’에 대한 정의와 설명입니다. "가장 개인적인 것이 가장 창의적인 것이다!... 누구도 대체할 수 없는 나만의 정체성을 '시그니처' Signature라고 한다... 이 책에서 시그니처는 누구도 대체할 수 없는 나만의 고유성, 즉 나를 구성하는 여러가지 자기다움 중에 나를 가장 잘 드러낼 수 있는 대표적인 강점을 말한다." (pp.8-9) 그렇습니다. 사실 제 자신을 돌이켜볼 때 ‘성결교목사’ ‘웨슬리안’ 이라는 ‘자기다움’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저는 요즘 ‘난 과연 성결교목사인가’ ‘난 과연 웨슬리안인가’ ‘난 자기다움으로 목회를 하는가’를 이 책을 통하여 깊게 던져보게 되었습니다. 이 질문에 대하여 신앙적으로 아주 잘 대답해 주는 책이 있습니다. 바로 허천회교수님이 쓰신 '웨슬리의 생애와 신학'입니다. 허교수님의 책은 제가 읽기 시작한 것이 적어도 3,4개월 전이었던 것 같습니다. 사실 이 책이 제 손안에 들어올 때만 해도 '웨슬리의 생애와 신학'이라는 책 제목은 평생 '나는 웨슬리안이다'라고 말하면서 살아왔던 제게 큰 흥분을 주었고 1주안에 읽고 소개하리라 결심하기에 충분한 동기부여를 했었습니다. 그런데 책의 한페이지 한페이지 넘겨 가면서 예상치 못한 문제들이 생기게 되고 결국3-4개월이 지나서야 이렇게 소개하게 된 이유가 있었습니다. 첫째는, 내가 알고 있던 존 웨슬리가 존 웨슬리가 아니었습니다. 둘째는, 내가 알고 있던 웨슬리안이 웨슬리안이 아니었습니다. 셋째는, 내가 알고 있던 ‘그리스도인의 완전’이 '그리스도인의 완전'이 아니었습니다. 920페이지라는 방대한 '양'도 양이지만 존 웨슬리의 생애와 신학을 설명하기 위해서 16세기 개혁주의신학으로 시작해서 18세기 영국에서 드러난 개혁주의신학의 한계와 모순 극복 과정... 거기에다가 19-20세기를 여는 현대신학까지의 '질'의 순도는 '자기다움'의 명쾌한 해설과 더불어 사실.... '내가 과연 신학전공자인가' '나는 과연 웨슬리신학을 알고 있는가'라는 질문도 제 스스로에게 던져보게 하였습니다. "루터와 칼빈이 16세기 종교개혁을 일으시면서 개혁주의신학이 형성되었다면, 200년이 지나면서18세기 영국에서 드러난 개혁주의신학의 한계와 모순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형성된 것이 웨슬리신학이다. 그런가하면, 웨슬리신학은 19-20세기를 여는 신학이 됨으로써 현대신학까지 연결되고 있다. 즉, 기독교신학을 이해해가 위해서는 개혁주의신학과 웨슬리신학, 그리고 이어서 현대신학까지 이해할 때 비로소 기독교신학에 대해 바람직하게 이해하게 될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웨슬리신학을 공부하는 이유는 웨슬리안이 되기 위해서라기보다는 기독교신학 전반을 이해하기 위한 필연적인 과정이라고 보는 것이 옳을 것이다." (pp.11-12) 오늘은 글을 쓰다보니 많이 길어지네요. 아마도 오두막 100번째 이야기를 마치고 '첫번째' 이야기를 쓰다보니 열정이 넘치는 것 같습니다. 제가 만나본 웨슬리신학의 책들 중에서 정말 최고봉입니다. 아니 독보적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특별히 ‘그리스도인의 완전’이라는 웨슬리신학의 본질을 웨슬리의 생애에 비추어서 역사적으로 논리적으로 설명해 주시는 부분은 압도적인데 거기에다가 영국 메도디스트와 아메리카 메도디스트 그리고 성결교의 '그리스도인의 완전'을 분석 종합 해 주신 설명은 더이상 '자기다움'의 정체성에 흔들림이 없도록 붙잡아 주셨습니다. 저는 정말 책을 읽으면서 이제까지는 ‘성결교목사로서 소명만 받고' 목회를 해 왔었다면 이제부터는 '성결교목사로서의 소명을 누리면서' 목회하는 새로운 생활현장을 기대합니다. 아무쪼록 이 두 책을 통해서 목사로 콜링은 받았지만, 콜링을 누리지 못했던 저와같은 목회자가 계시다면 회복이 있기를 소망합니다. 더불어서 이항림교수님의 정의처럼 꼭 목회자가 아니라 ‘직업’ ‘일’로서의 선택한 생활현장에서 ‘콜링의 누림’을 즐기지 못하는 분들이 있다면 꼭 ‘자기다움’의 회복을 통해 AI 시대, 4차산업 시대, 코로나바이러스 시대에서도 '콜링의 누림'이 있기를 소망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6 오두막 106번째 이야기 -일반서적은 황지우 시인의 '어느 날 나는 흐린 주점에 앉아 있을 거다'이고, 신앙서적으로는 헨리 나우웬의 '춤추시는 하나님'입니다. 전우철 2020.10.08 278
105 오두막 105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위기철 작가의 ‘아홉살 인생’이며, 신앙서적은 조이 도우슨의 ‘아이들에게 물려 줄 최고의 유산’ 입니다. 전우철 2020.10.08 143
104 오두막 104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조나단 스위프트의 ‘걸리버 여행기’이고, 신앙서적은 티시 해리슨 워런의 ‘오늘이라는 예배’ 입니다. 전우철 2020.10.08 148
103 오두막 103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박웅현 작가님의 ‘책은 도끼다’이고, 신앙서적은 오스왈드 챔버스의 ‘하나님께 인정받는 사역자’입니다 전우철 2020.10.02 139
102 오두막 102번째 이야기 -일반서적은 박웅현 작가의 '여덟 단어'이고, 신앙서적은 윌리엄스틸 목사의 '목사의 길'입니다. 전우철 2020.10.02 276
» 오두막 101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이항심교수님의 '시그니처'(SIGNATURE)이고, 신앙서적은 허천회교수님의 '웨슬리의 생애와 신학' 입니다. 전우철 2020.09.30 129
100 오두막 100번째 이야기 - 'Only Book 최고의 책' 전우철 2020.09.30 132
99 오두막 99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스펜서 존슨의 '선물'(The Present)이고, 신앙서적은 존 클레어풀의 '연금술사 하나님'입니다 전우철 2020.09.25 143
98 오두막 98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이성청 교수님의 '청년의 빅퀘스천'이고, 신앙서적은 고든 맥도날드 목사님의 '남자는 무슨 생각을 하며 사는가?' 입니다. 전우철 2020.09.25 138
97 오두막 97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엄종열 원장님의 '그림으로 배우는 한국문화유산'이고, 신앙서적은 D.A.카슨 교수님의 '교회와 문화, 그 위태로운 관계'입니다. 전우철 2020.09.23 131
96 오두막 96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김치경박사님이 쓰신 '한국민족의 빛을 찾아서'이고, 신앙서적은 이신건교수님의 '어린이신학' 입니다. 전우철 2020.09.22 123
95 오두막 95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로버트 루트번스타인과 미셸 루투번스타인의 ‘생각의 탄생’이고, 신앙서적은 필립 얀시의 ‘수상한 소문’입니다. 전우철 2020.09.18 137
94 오두막 94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전승환의 '나에게 고맙다'이고, 신앙서적은 오스왈드 챔버스의 '그리스도인의 정체성'입니다 전우철 2020.09.17 144
93 오두막 93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양태자박사의 ‘중세의 뒷골목 풍경’이고, 신앙서적은 이도영목사의 ‘코로나19 이후 시대와 한국교회의 과제’입니다. 전우철 2020.09.16 141
92 오두막 92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룽잉타이의 '눈으로 하는 작별'이고, 신앙서적은 존 레녹스의 '코로나아비러스 세상, 하나님은 어디에 계실까?' 입니다 전우철 2020.09.15 125
91 오두막 91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사노 요코의 ‘사는게 뭐라고’ 이고, 신앙서적은 래리 오스본의 ‘바벨론에서 그리스도인으로 살기’ 입니다. 전우철 2020.09.11 140
90 오두막 90번째 이야기 –일반서적은 기형도 시인의 ‘입 속의 검은 잎’ 이고, 신앙서적은 토마스 아 켐피스의 ‘그리스도를 본받아’ 입니다. 전우철 2020.09.11 138
89 오두막 89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류시화 시인의 ‘사랑하라 한번도 상처받지 않은 것처럼’이고, 신앙서적은 한병선 작가님의 ‘이름없는 선교사들의 마을, 블랙마운틴을 찾아서’ 입니다. 전우철 2020.09.09 135
88 오두막 88번째 이야기 – 오늘 소개하는 일반서적은 용혜원 시인의 ‘함께 있으면 좋은 사람’이고, 신앙서적은 D.M.로이든 존슨 목사님과 트루만 데이비스 의학박사님의 ‘십자가는 하나님의 입증’ 입니다 전우철 2020.09.08 138
87 오두막 87번째 이야기 -일반서적은 송원석 정명효 작가님들이 쓰신 '사라져 가는 것들에 대하여'라는 책이고, 신앙서적은 달라스 윌라드의 '잊혀진 제자도'라는 책입니다. 전우철 2020.09.07 144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