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오두막 (5분에 책 두권 막 읽어주는 목사) Reading Pastor

https://www.youtube.com/watch?v=PyjCfP3bNEQ 오두막 109번째 이야기 - '(내가 선명해지는) 한 단어의 힘' 오늘 소개하는 일반서적은 에번 카마이클의 '한 단어의 힘'이고, 신앙서적은 존 맥아더의 '예배' (우리는 예배 드리기 위해 구원받았다) 입니다. '한 단어의 힘'의 저자 에번 카마이클은 열아홉살 때 생명공학 소프트웨어 회사를 세우고 나중에 매각했습니다. 그 과정에서 인생의 쓴맛을 여실히 맛보게 되었고, 그런 가운데 아주 중요한 자신의 '한 단어'를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그는 책 첫장에 이렇게 썼습니다. "당신을 말해주는 하나의 단어는 무엇입니까?" "당신을 설명할 수 있는 단 하나의 단어를 찾고 싶다면 먼저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 들여다보라. 출발점은 당신의 본질이다." 저는 391 페이지 분량에서 제가 찾은 키워드 3가지를 말하라고 한다면 다음의 글들입니다. 1)당신만 모르는 한 단어의 비밀 "마틴 루터 깅은 평등, 오프라 윈프리는 마음, 스티브 잡스는 영향력 그렇다면 당신은? 뻔한 인생의 사슬을 끊고 정말로 영향력 있는 사람이 되기를 원한다면 당신의 한 단어부터 찾아야 한다. 당신이 추구하는 어떤 강력하고 중요한 것을 표현하는 단어다." (pp.36-37) 2)핵심을 담고 본질을 판다. 이 개념만 알아도 당신의 사업이 달라지고 당신을 마케팅하는 방법이 달라진다. "기능장사...편의 장사... 본질장사... 기능과 편익은 저리 치워두자. 진짜는 본질을 파는 것이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당신의 한 단어가 있다. 그 한 단어에 당신이 무엇을 하려고 하는지, 그리고 그게 왜 그렇게 중요한지가 담겨 있다." (pp.40-41) 3)나만의 한 단어 찾기, 스타트! "지금부터 우리는 다섯 가지 질문에 답을 할 것이다. 가)나를 행복하게 하는 것은 무엇인가? 나)나를 행복하게 하는 것을 하나로 연결하는 것은 무엇인가? 다)내가 싫어하는 것은 무엇인가? 라)내게서 변치 않는 것은 무엇인가? 마)이것이 '진짜' 나인가? 자, 그러면 정신 집중을 방해하는 것을 모두 치워버리고, 이제 30분간 마음을 활짝 열고 자신에게 솔직해지길 바란다." (pp.86-87) 일반서적에 대답할 수 있는 신앙서적은 존 맥아더 목사님의 '예배' 입니다. 맨 첫 페이지에 보면 그냥 예배가 아니라.... '우리는 예배 드리기 위해 구원받았다'라고 적혀 있습니다. 제가 이 책을 선택한 이유는 어쩌면 앞의 책과 연관성을 갖고 있기 보다는 '과연 나는 나의 한 단어를 갖고 있는가'를 고민하다가 5가지 질문을 그대로 해 보면서 찾게 된 단어가 '예배' 였기 때문입니다. 그렇습니다. 가)'나를 행복하게 하는 것은 무인가?' 라는 질문에 주저함 없이 나온 '한 단어'가 '예배'였습니다. 그냥 예배가 아니라 특별히 '삶의 모든 것이 되는 예배'였습니다. 그리고 이 '문장'이 제 뇌를 도끼로 찍는 것처럼 내리칠 때 그때 갑자기 느껴지는 '행복감'은 이루 말할 수 없었습니다. 그리고 다시 마)질문을 해 보았습니다. '이것이 '진짜' 나인가?' 네, '예배' 이 한 단어는 '진짜 나'였습니다. 사실 저역시 에반 카마이클처럼 목회의 큰 실패와 좌절을 겪은적이 있습니다. 정말 낙망하여 일어설 수 없을 지경이었습니다. 그러다가 동생 전기철목사가 목회하는 '강남새사람교회' '예배당'에 들어가면서부터 감정이 뜨거워지고 특별히 정면 오른쪽에 붙어있던 슬로건은 죽었던 나를 다시 살리게 했던 '문장'이었습니다.순간 "삶의 모든 것이 예배가 되는 교회" 그이후 저는 '교회에서만' 드리는 예배 뿐만아니라 '가정에서' '사무실'에서 '세상속에서' 어떤 순간이든지 '예배자'로 서게 되었고, 그리고 '그 예배자'는 어떤 '상황에도 끌려다니지 않는' '그 예배자'가 될 수 있었습니다. 물론, 육신의 옷을 입고 있는지라 아주 자주 넘어지고 깨지지만 '나의 본질'을 성령님이 붙잡아 주고 계십니다. 다시한번 반복하지만... 존 맥아더 목사님은 다음과 같이 말씀하십니다. "우리는 예배드리기 위해 구원받았다!" 오늘 이 책에서 제가 받은 감동을 3가지로 추려 보았습니다. 1)우리에게 가장 필요한 것 "교회가 예배를 올바로 드리지 못하면 다른 모든 영역에서도 실패하고 만다. 그리고 교회의 실패는 온 세상이 고통을 받는다." (p.33) 2)예배에 솔라 스크립투라 적용하기 "모든 진실한 예배는 말씀 사역의 강단 위에 세워진다. '두 세계 사이에서' 존 스토트가 그것을 잘 말해 주고 있다. 말씀과 예배는 서로 떼어놀 수 없다... 설교는 하나님의 이름을 알리는 것이고, 예배는 알려진 하나님의 이름을 찬양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 둘은 서로 헤어질 수 없다." (p.47) 3)모든 삶이 예배다 "참된 예배는 삶의 각 영역에 영향을 미친가는 사실을 이해할 때 예배의 정의가 풍성해진다. 우리는 모든 일 가운데 하나님을 높이고 경배해야 한다." (p.62) "성전은 실체가 아니라 상징이다." (p.201) 오늘은 마무리를 일반서적에서 글을 인용합니다. '한 단어의 힘' 294 페이지에 이런 글이 적혀 있습니다. "당신이 일하는 곳이... 당신의 단어를 확인하는 것이 되어야 한다. 당신이 일하는 곳이 당신의 단어가 전하는 메시지를 기반으로.... 당신이 일하는 곳이 당신의 단어로 계획을 세우고... 방향을 제시하고 추진력을 부여할 것이다." (p.294) "Word가 Story가 되고, Story가 History가 되어진다. 당신의 한 단어가 사람들에게 닿으려면 당신은 두가지를 실행해야 한다. 하나는 시작하는 것이다. 다른하나는 끝까지 하는 것이다." (p.156) 글을 쓰고 보니 앞에서 양해를 구했지만 굉장히 '나의 이야기'로 치우쳤다는 느낌이 드네요. 미안합니다.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이야기도 제게 하겠습니다. "전목사, 그 한 단어 Worship이 네가 일하는 곳에서 너에게 의미를 주고, 희망을 주고, 방향을 주리라 믿는다. 전목사, 그 한 단어 Worship이 나중에 Story가 되고.... History가 될 때까지 끝까지 성령님과 함께 '삶의 모든 것이 예배가 되는 목사'가 되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0 오두막 81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윌리엄 세익스피어의 ‘햄릿’이고, 신앙서적은 진 에드워드의 ‘세 왕의 이야기’ 입니다. 전우철 2020.09.07 64
119 오두막 82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단테의 '신곡'이고, 신앙서적은 프랜시스 첸의 '지옥은 없다?'입니다. 전우철 2020.09.07 63
118 오두막 83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데일 카네기의 인간 관계론이고, 신앙서적은 팀&조이 다운스의 '부부싸움의 은혜' 입니다. 전우철 2020.09.07 71
117 오두막 84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조지 오엘의 ‘동물농장’이고, 신앙서적은 김명용교수님의 ‘칼 바르트의 신학’입니다. 전우철 2020.09.07 66
116 오두막 85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J.D.샐린저의 '호밀밭의 파수꾼' (The Catcher In The Rye)이고, 신앙서적은 김요셉목사의 '삶으로 가르치는 것만 남는다' (Teaching Is Caught, Not Taught) 전우철 2020.09.07 60
115 오두막 86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문영미교수님의 '디퍼런트' Different 라는 책이고, 신앙서적은 블레인 앨런 목사님의 '그만두고 싶은 목사, 그만둘 수 없는 목회' Before You Quit 입니다. 전우철 2020.09.07 62
114 오두막 87번째 이야기 -일반서적은 송원석 정명효 작가님들이 쓰신 '사라져 가는 것들에 대하여'라는 책이고, 신앙서적은 달라스 윌라드의 '잊혀진 제자도'라는 책입니다. 전우철 2020.09.07 74
113 오두막 88번째 이야기 – 오늘 소개하는 일반서적은 용혜원 시인의 ‘함께 있으면 좋은 사람’이고, 신앙서적은 D.M.로이든 존슨 목사님과 트루만 데이비스 의학박사님의 ‘십자가는 하나님의 입증’ 입니다 전우철 2020.09.08 74
112 오두막 89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류시화 시인의 ‘사랑하라 한번도 상처받지 않은 것처럼’이고, 신앙서적은 한병선 작가님의 ‘이름없는 선교사들의 마을, 블랙마운틴을 찾아서’ 입니다. 전우철 2020.09.09 73
111 오두막 90번째 이야기 –일반서적은 기형도 시인의 ‘입 속의 검은 잎’ 이고, 신앙서적은 토마스 아 켐피스의 ‘그리스도를 본받아’ 입니다. 전우철 2020.09.11 62
110 오두막 91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사노 요코의 ‘사는게 뭐라고’ 이고, 신앙서적은 래리 오스본의 ‘바벨론에서 그리스도인으로 살기’ 입니다. 전우철 2020.09.11 72
109 오두막 92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룽잉타이의 '눈으로 하는 작별'이고, 신앙서적은 존 레녹스의 '코로나아비러스 세상, 하나님은 어디에 계실까?' 입니다 전우철 2020.09.15 50
108 오두막 93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양태자박사의 ‘중세의 뒷골목 풍경’이고, 신앙서적은 이도영목사의 ‘코로나19 이후 시대와 한국교회의 과제’입니다. 전우철 2020.09.16 65
107 오두막 94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전승환의 '나에게 고맙다'이고, 신앙서적은 오스왈드 챔버스의 '그리스도인의 정체성'입니다 전우철 2020.09.17 68
106 오두막 95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로버트 루트번스타인과 미셸 루투번스타인의 ‘생각의 탄생’이고, 신앙서적은 필립 얀시의 ‘수상한 소문’입니다. 전우철 2020.09.18 66
105 오두막 96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김치경박사님이 쓰신 '한국민족의 빛을 찾아서'이고, 신앙서적은 이신건교수님의 '어린이신학' 입니다. 전우철 2020.09.22 57
104 오두막 97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엄종열 원장님의 '그림으로 배우는 한국문화유산'이고, 신앙서적은 D.A.카슨 교수님의 '교회와 문화, 그 위태로운 관계'입니다. 전우철 2020.09.23 54
103 오두막 98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이성청 교수님의 '청년의 빅퀘스천'이고, 신앙서적은 고든 맥도날드 목사님의 '남자는 무슨 생각을 하며 사는가?' 입니다. 전우철 2020.09.25 69
102 오두막 99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스펜서 존슨의 '선물'(The Present)이고, 신앙서적은 존 클레어풀의 '연금술사 하나님'입니다 전우철 2020.09.25 72
101 오두막 100번째 이야기 - 'Only Book 최고의 책' 전우철 2020.09.30 76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