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오두막 (5분에 책 두권 막 읽어주는 목사) Reading Pastor

. 오두막이야기 163번째 이야기 - ‘중세 뒷골목 풍경과 근대의 문을 최후의 중세인 루터’

 

오늘 소개할 일반서적은 양태자 박사의 ‘중세의 뒷골목 풍경’이고, 신앙서적은 이길용 교수의 ‘루터’입니다.

 

일반서적입니다. 양태자 교수는 독일 예나대학교에서 비교종교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책은 4부로 ‘중세의 뒷골목 인생’ ‘뒷골목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뒷골목의 종교’ ‘뒷골목의 정치’로 되어있습니다

흥미롭게 읽었던 주제는  3가지입니다. 첫째는  ‘페스트’로 인하여 타락해가던 카톨릭교회의 뒷골목, 둘째는 ‘성물’과 ‘면벌부’가 대결하던 뒷골목, 셋째는 ‘농민’과 ‘영주’들이 싸우던 뒷골목이야기입니다.

페스트는 유럽인구의 3분의 1 죽였습니다. 이때 카톨릭교회 사제들의 희생이 컸고, 자격미달 사제들을 충원하는 과정에서 면벌부를 만든 교회는 타락해갔습니다. 교회뿐만아니라 연옥에서 받을 고통을 없애준다는 ‘성물’을 모아 성지를 만들고, 성지로 장사를 하던 영주들도 부패해갔습니다. 이런 가운데 루터의 이름을 걸고 시작된 ‘농민전쟁’은 영주를 지지한 루터의 배신으로 실패로 돌아갔습니다

“루터의 영향을 받아, 루터의 이름을 걸고 농민전쟁을 시작했던 10 명의 농민들은 루터에게 버림받아 명분을 확산할 없었다. 그들은 결국 무력하고 비참하게 죽어갔다.(P. 188).

중세시대의 뒷골목 풍경은 죽음, 타락, 부패 그리고 배신으로 가득해 보였습니다.

 

신앙서적입니다. 이길용 교수는 서강대학교 종교학과를 졸업하고 마르부르크대학교에서 종교학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루터’ 책의 부제는 ‘근대의 문을 최후의 중세인’으로서 종교개혁을 일으킨 사제 루터 차원을 넘어서, 중세시대에서 근세로 독일을 이끈 ‘레포르마치온’(Reformation) ‘개혁’의 주체 루터를 다루고 있습니다.

‘중세 뒷골목 풍경’에서 생긴 고민에 대한 설명을 ‘루터’에서 찾아보았습니다..

첫째는, ‘페스트’와 종교개혁과의 관계입니다. 사제들은 직업의 특성상 페스트로 인해 가장 많이 희생된 이들이었습니다. 때문에 사제 없는 성당이 속출했고, 졸속으로 신부를 양산하다 보니 사제 계급의 질적 하락과 교회의 부패가 만연했습니다.

“루터는 그렇게 자격 없는 사제들에 의해 자행되던 왜곡된 신의 은총을 제대로 해석하여 전달하기를 원했고, 그것이 종교개혁의 시작이었다.(P. 18).

둘째는 ‘성물’과 종교개혁과의 관계입니다. 루터는 교황의 면벌부에 맞서서 싸웠습니다. 싸움에서 지지 않았던 가장 힘은 프리드리히 3세를 비롯한 영주들의 협력이었습니다. 그런데 사실 프리드리히 3세를 비롯하여 성물을 많이 소유한 영주들은  면벌부가 성물의 강력한 대체물이 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앞장섰습니다.

“프리드리히 3세는 루터를 두둔하고 그를 지킬 밖에 없었다. 그는 루터의 ‘믿음’을 지킨 것이 아니라 그를 보호함으로써 얻게 되는 자신의 ‘실익’을 지킨 셈이다.(P. 153).

셋째는, ‘농민전쟁’과 종교개혁과의 관계입니다. 루터는 ‘만인제사장론’을 주창하였습니다. 그러나 농민전쟁이 일어났을 자신의 개혁사업을 완수하기 위하여 농민이 아니라 영주편에 철저하게 보수적인 수도사였습니다.

“당시 농민들은, 가톨릭교회에 당당히 저항하며 만인사제주의를 외친 루터가 자신의 후원자가 것이라 기대했다. 하지만 루터는 그렇게 하지 않았다. (중략) 농민 전쟁 동안 희생당한 농민은 10만명에 달했다. 루터 역시 끔찍한 학살극에 일정 부분 책임이 있다고 것이다.(PP. 232~233).

 

1517 루터의 ‘종교개혁’은 성공했는지 모르지만, 중세에서 근대로 넘어가는 ‘개혁’에는 실패했습니다. 2022 한국교회 목사들은 어떠합니까?

근대의 문을 최후의 중세인 루터보다 ‘신앙개혁’은 물론이고 사회전반에 걸친 ‘개혁’은 성공적입니까? 그렇지 않습니다!

페스트로 인하여 타락하고 부패했던 중세교회보다 코로나 바이러스 가운데 있는 오늘날의 한국교회가 깨끗합니까? 그렇지 않습니다!

면벌부로 돈을 축적하던 중세 카톨릭교회보다 오늘날의 한국교회가더 정직합니까? 그렇지 않습니다!

10만명 농민의 죽음을 외면하던 루터보다 오늘날의 한국교회가 가난하고 소외된 이웃들 편에 있습니까?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한국교회와 목사들이 1517 중세교회와 종교개혁에만 관심을 가질 것이 아니라, 2022 한국의 뒷골목 풍경을 관찰하면서 사회전반에 걸친 문제들을 ‘레포르마치온’(Reformation) 개혁해 나가는 주체가 되기를 소망합니다.

 

근대의 문을 최후의 중세인 루터의개혁실패를 되풀이 하지 않기 위해서는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하여 고통 받는 자들의 자리로 깊이 들어가야 합니다. 교회의 성전 탑을 쌓기 위하여 계속 부어대는 돈잔치를 강하게 멈추게 해야 합니다. 만인제사장론을 주창하는 교회를 믿고 거리로 나서는 사회개혁가들을 배신하지 않고 끝까지 보호하고 지켜주어야 합니다. 그런 한국교회와 목사들이 되기를 소망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0 '나의 인생, 남의 인생' - 어떤 하루 (신준모) / 지금 나는 두렵다 (에드 영) 전우철 2020.04.23 127
179 '신은 없다, 신은 있다' - 무신론자를 위한 종교(알랭 드 보통) / 순전한 기독교 (C.S 루이스) 전우철 2020.04.28 125
178 '전염병' - 페스트 (알베르 카뮈) / 정말 기독교는 비겁할까? (디트리히 본회퍼) 전우철 2020.04.28 242
177 '고통이라는 선물' - Me Before You (조조 모예스) / 고통이라는 선물 (필립 얀시/폴 브랜드) [2] 전우철 2020.04.29 134
176 '건축학개론' - 사랑은 내 시간을 기꺼이 건네 주는 것이다 (이기주) / 교회건축과 예배공간 (저자-James White & Susan White, 번역-안덕원) 전우철 2020.05.01 713
175 '세속공간을 변화시키는 것' - 신인류와 문화콘텐츠 그리고 대중문화 (이길용) / 이머징 교회 (에디깁스/라이언볼저) 전우철 2020.05.04 175
174 'Transformation의 크기는, Information의 크기에 달려있다' - 뉴스의 시대 (알랭 드 보통) / 말씀묵상과 예수님을 닮아가는 삶 (강준민) 전우철 2020.05.05 179
173 'The Book 내 인생의 책' - 잘못은 우리 별에 있어 (존 그린) / 삶을 위한 신학 (앨리스터 맥그래스) [2] 전우철 2020.05.07 172
172 '사실은 과거의 것이고 역사가는 현재에 산다' - 역사의 역사 (유시민) / 한국성결교회 형성사 (이한복) 전우철 2020.05.07 232
171 '기쁘게 살 수 있는 힘' - 나는 죽을 때까지 재미있게 살고 싶다 (이근후) / 하나님을 기뻐하라 (존 파이퍼) 전우철 2020.05.12 153
170 '남북통일을 위한 기도'' - 나쁜 사마리아인들(장하준)/대천덕신부의 통일을 위한 코이노니아'(대천덕) 전우철 2020.05.12 173
169 'Say NO! 자녀에 흐르는 상처를 끊는 방법' - 가족의 두 얼굴 (최광현) / 하나님 형상 회복 (유진소) 전우철 2020.05.13 3312
168 'Sink Hole 한국교회에 싱크홀이 생겼습니다' - 이교에 물든 기독교 (프랭크 바이올라/조지 바나) / 미셔널 처치 (최동규) 전우철 2020.05.15 191
167 '나는 크리스챤이 된 것을 후회한다?' - 나는 아내와의 결혼을 후회한다 (김정운) / 나는 참 기독교인인가 (마이크 매킨리) 전우철 2020.05.19 245
166 '타인처럼 느껴지는 사람을 대하는 자세' - 타인의 해석 (말콤 글래드웰) / 영성에도 색깔이 있다 (게리 토마스) 전우철 2020.05.20 406
165 'Nothing + JESUS = Everything' - 나는 인생에서 중요한 것만 남기기로 했다 (에리카 라인) / 하나님의 임재 (달라스 윌라드) 전우철 2020.05.21 323
164 '기다림' - 사람사전 (정철) / 열 두 예언자의 영성 (차준희) 전우철 2020.05.22 173
163 ' 100 퍼센트!' - 불안 (알랭 드 보통) / 하나님을 들으라 (존 파이퍼) 전우철 2020.05.26 165
162 '접속'만 하지말고 '접촉' 하십시오 - 내가 원하는 것을 나도 모를 때 (전승환) / 큐티 라이프 (김은애) 전우철 2020.05.27 129
161 '자신의 인생을 스스로 망치지 마십시오' - 시작의 기술 (개리 비숍) / 주와 함께 달려가리이다 (유진 피터슨) 전우철 2020.05.28 1619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