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오두막 (5분에 책 두권 막 읽어주는 목사) Reading Pastor

.

오두막 164번째 이야기 - 소명을 ‘가지고’ 있는 목사와 소명으로 ‘살아가는’ 목사는 다릅니다!

오늘 소개하는 일반서적은 이항심 교수의 '시그니처'(SIGNATURE)이고, 신앙서적은 허천회 박사의 '웨슬리의 생애와 신학' 입니다.

이항심 교수의 책 ‘시그니처’입니다. 소제목은 ‘코로나 이후, 우리는 어떻게 일해야 할까?’입니다.

이 책은 ‘진로심리학’ 입장에서 '일'을 JOB(생업), CAREER(경력), CALLING(소명) 세가지로 구분합니다.

“먼저 일을 JOB으로 바라보는 관점은, 일이란 삶을 유지하기 위한 필수조건이자 먹고살기 위한 경제적 수단이라 여긴다. 일을 CAREER로 바라보는 관점에서 일은 경제적 수단일 뿐 아니라 자아실현의 수단이기도 하다. (중략) 마지막으로 일을 CALLING으로 바라보는 관점이 있다. 일을 CALLING으로 바라보는 사람들에게 일이란 자신의 정체성이자 자신이 추구하는 하는 삶의 가치와 의미가 반영되어 있다." (PP. 53-54.).

일터의 행복을 높이는 법에 관해 토론하면서 '소명을 가지는 것’ vs ‘소명으로 살아가는 것'을 구분합니다.

"소명을 가지고 있는 것은 좋은 차를 주차장에 넣어 두는 것이고, 소명으로 살아가는 것은 좋은 차를 실제로 운전하며 이곳저곳 다니는 것이다." (PP. 155-156).

이항림 교수는 책 제목인 ‘시그니처’에 대한 정의를 아래와 같이 합니다. 

"가장 개인적인 것이 가장 창의적인 것이다! (중략) 누구도 대체할 수 없는 나만의 정체성을 '시그니처' Signature라고 한다. (중략) 이 책에서 시그니처는 누구도 대체할 수 없는 나만의 고유성, 즉 나를 구성하는 여러가지 자기다움 중에 나를 가장 잘 드러낼 수 있는 대표적인 강점을 말한다." (PP.8-9).

 

허천회 박사의 책 '웨슬리의 생애와 신학' 입니다. 이 책은 920페이지라는 방대한 '양'을 가졌습니다.

이 책을 읽으면서 내가 알고 있던 웨슬리가 존 웨슬리가 아니었습니다. 내가 알고 있던 웨슬리안이 웨슬리안이 아니었습니다. 내가 알고 있는 ‘그리스도인의 완전’이 ‘그리스도인의 완전’이 아니었습니다.

시그니처 책의 내용을 인용하면, 소명을 ‘가지고’ 있는 것과 소명으로 ‘살아가는’ 것에 차이가 있듯이, 그동안 저는 웨슬리신학을 ‘가지고’ 있었지 ‘살아가고’ 있지는 않았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제게 준 3가지 깨달음과 감동입니다.

첫째는, 기존의 웨슬리에 관한 책들과 차별성이 있습니다. 존 웨슬리의 생애와 신학을 설명하기 ‘감리교 전통’ 아래에서 책을 풀어 간 것이 아니라, 16세기 ‘개혁주의신학’으로 시작해서 18세기 영국에서 드러난 ‘개혁주의신학의 한계와 모순 그리고 극복 과정’ 그리고 19-20세기 ‘현대신학’까지 동원하여 통전적으로 분석한 부분이 참 좋았습니다.

"루터와 칼빈이 16세기 종교개혁을 일으키면서 개혁주의신학이 형성되었다면, 200년이 지나면서 18세기 영국에서 드러난 개혁주의신학의 한계와 모순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형성된 것이 웨슬리신학이다. 그런가하면, 웨슬리신학은 19-20세기를 여는 신학이 됨으로서 현대신학까지 연결되고 있다. 즉, 기독교신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개혁주의신학과 웨슬리신학, 그리고 이어서 현대신학까지 이해 할 때 비로소 기독교신학에 대해 바람직하게 이해하게 될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웨슬리신학을 공부하는 이유는 웨슬리안이 되기 위해서라기보다는 기독교신학 전반을 이해하기 위한 필연적인 과정이라고 보는 것이 옳을 것이다." (PP. 11-12).

둘째는, ‘그리스도인의 완전’이라는 웨슬리신학의 본질을 웨슬리의 생애에 비추어서 역사적으로 논리적으로 설명해 주는 부분은 압도적이었습니다.

셋째는, 성결교목사인 저로서는 개인적으로 영국 메도디스트와 아메리카 메도디스트 그리고 성결교의 '그리스도인의 완전'을 분석 종합 해 주신 설명은 더 이상 자기다움의 정체성에 흔들림이 없도록 붙잡아 주었습니다.

두 권의 책을 읽으면서 다음과 같은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졌습니다.

난 과연 소명을 가지고 있는 목사인가, 아니면 소명으로 살아가는 목사인가?' 난 과연 웨슬리안이란 이름만 가지고 있는가, 아니면 그리도인의 완전함을 누리면서 살아가고 있는가?’ 난 과연 성결교 목사라는 이름만 가지고 있는가, 아니면 성결한 삶을 살아가려고 애쓰는 목사인가’

 

Signature, '자기다움'의 정체성이 흔들리지 않는 목사가 되고 싶습니다. 성결의 소명만 ‘가지고’ 있는 목사가 아니라, 성결의 소명으로 ‘살아가는’ 목사가 되고 싶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0 '담' - 그래도 괜찮은 하루 (구작가) / 인생 역전을 이끄신 하나님 (정일남) [2] 전우철 2020.04.16 4328
199 'Say NO! 자녀에 흐르는 상처를 끊는 방법' - 가족의 두 얼굴 (최광현) / 하나님 형상 회복 (유진소) 전우철 2020.05.13 3312
198 '그늘' - 아름다운 그늘 (신경숙) / 전능자의 그늘 (엘리자베스 엘리엇) [2] 전우철 2020.04.15 2949
197 '포기' - 평범히 살고 싶어서 열심히 살고 있다 (최대호) / 그리스도인의 정체성 (저자-오스왈드 챔버스, 번역자-스테반황) 전우철 2020.04.03 2749
196 '자신의 인생을 스스로 망치지 마십시오' - 시작의 기술 (개리 비숍) / 주와 함께 달려가리이다 (유진 피터슨) 전우철 2020.05.28 1619
195 오두막 132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윌 듀런트의 '내가 왜 계속 살아야 합니까'이고, 신앙서적은 엘리자베스 엘리엇의 '고통은 헛되지 않아요' 입니다. 전우철 2020.12.22 886
194 '건축학개론' - 사랑은 내 시간을 기꺼이 건네 주는 것이다 (이기주) / 교회건축과 예배공간 (저자-James White & Susan White, 번역-안덕원) 전우철 2020.05.01 713
193 '믿음' - 오늘은 이만 좀 쉴게요 (손힘찬 오가타 마리토) / 나의 끝 예수의 시작 (카일 아이들먼) 전우철 2020.03.24 490
192 '신의 언어' - 신과 다윈의 시대 (EBS) / 신의 언어 (프랜시스 콜린스) 전우철 2020.04.17 453
191 '소망' - 시간은 흐르지 않는다 (카를로 로벨리) / 내가 누구를 두려워하리요 (임현수) 정안젤라 2020.03.21 433
190 '타인처럼 느껴지는 사람을 대하는 자세' - 타인의 해석 (말콤 글래드웰) / 영성에도 색깔이 있다 (게리 토마스) 전우철 2020.05.20 406
189 'Nothing + JESUS = Everything' - 나는 인생에서 중요한 것만 남기기로 했다 (에리카 라인) / 하나님의 임재 (달라스 윌라드) 전우철 2020.05.21 323
188 오두막 156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죽음'이고, 신앙서적은 위르겐 몰트만의 '나는 영생을 믿는다'입니다. 정안젤라 2021.04.14 281
187 오두막 155번째 이야기 - 'La Bestia, 미국으로 향해 가는 이름 없는 괴물 열차' 오늘 소개하는 일반서적은 제닌 커민스의 '아메리칸 더트'(American Dirt)이고, 신앙서적은 진 에드워드의 '하나님은 언제나 너를 돌보고 계셔'(Stories I Love to Tell)입니다. 정안젤라 2021.04.14 274
186 '도망' - 창문 넘어 도망친 100세 노인 (요나스 요나손) / 짐을 버리고 길을 묻다 (맥스 루케이도) [3] 전우철 2020.04.09 272
185 'Re-Packing' - 인생의 절반쯤 왔을 때 깨닫게 되는 것들 (Richard Leider) / 멸종 위기의 성경 중심 지도자 (저자/J.Robert Clinton, 번역/황의정) [2] 전우철 2020.04.08 249
184 '나는 크리스챤이 된 것을 후회한다?' - 나는 아내와의 결혼을 후회한다 (김정운) / 나는 참 기독교인인가 (마이크 매킨리) 전우철 2020.05.19 245
183 오두막 154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제라미 리프킨의 '공감의 시대'이고, 신앙서적은 장동민의 '포스트크리스텐덤 시대의 한국기독교'입니다. 정안젤라 2021.04.14 245
182 '전염병' - 페스트 (알베르 카뮈) / 정말 기독교는 비겁할까? (디트리히 본회퍼) 전우철 2020.04.28 242
181 '사실은 과거의 것이고 역사가는 현재에 산다' - 역사의 역사 (유시민) / 한국성결교회 형성사 (이한복) 전우철 2020.05.07 232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