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오두막 (5분에 책 두권 막 읽어주는 목사) Reading Pastor

;

오두막 169번째 이야기 – ‘글쓰기에 성공한 사람은 책읽기에 성공한 사람이고, 책읽기에 성공한 사람만이 글쓰기에 성공할 수 있습니다!’

 

오늘 소개하는 일반서적은 C.S.루이스 교수의 ‘책 읽는 삶’이고, 신앙서적은 강준민 목사의 ‘목회자의 글쓰기’입니다.

C.S.루이스 교수는 ‘나니아 연대기’ ‘순전한 기독교’ 등의 저자이자 20세기 최고의 기독교 변증가로서 하루에 8시간 책을 읽던 독서광이었습니다.   

‘책 읽는 삶’은 루이스의 유명 저서를 비롯해 잘 알려지지 않은 에세이, 편지 등에서 ‘독서 행위’에 대한 글을 엮어 출간된 책으로서 크게 3분야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첫째는, 문학 수업입니다. 역사 공부도 중요하지만 비록 ‘시대와 실존’까지는 몰라도 그 중 태반을 ‘유람하게’ 함으로써, 자신의 편협한 관점을 벗어 버리게 하기 때문입니다. 

둘째는, 고서입니다. 현대서적은 진리를 어설프게 알게 하거나 또는 잘못 이해하게 하는 과오를 저지릅니다. 유일한 완화제는 우리 머릿속에 ‘역사의 시원한 바닷바람’을 쐬는 것인데, 그러려면 고서를 읽어야 합니다.

셋째는, 신화입니다. 신화는 우리가 아는 모든 것을 가져다가, ‘익숙해서 보이지 않던’ 풍부한 의미를 되살려 줍니다. 

C.S.루이스의 책을 읽으면서 모두 좋았지만 가장 도전을 주었던 것은 모티머 애들러의 말을 인용한 부분이었습니다. ˝좋은 책의 관건은당신이 몇 권을 독파하느냐가 아니라 그중 몇 권이 당신을 독파하느냐에 있다.˝ (P.10).

강준민 목사는 소문난 다독가이며 베스트셀러 작가이면서 나의 ‘책읽기’와 ‘글쓰기’ 공부의 개인 선생입니다. 

‘목회자의 글쓰기’는 목사의 ‘글쓰기’에 꼭 필요한 책이면서 동시에 좋은 글을 쓰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할 ‘책읽기’에 대한 안내서로 탁월합니다.  

“글을 올바로 쓰기 위해서는 올바른 지식이 있어야 한다. 올바른 지식은 많은 지식을 살피며 분별하는 과정에서 얻게 된다. 또한 글을 쓴다는 것은 창작 행위다. 책을 읽는 것이 지식을 소유하고 소비하는 것이라면, 글 쓰는 것은 지식을 나누고 생산하는 작업이다.” (P.87).

좋은 글을 쓰기 위해서는 독서가 중요합니다. 지속적인 책읽기를 통해 내면을 채우는 일에 전념해야 합니다. 고통스럽지만 성실하게 독서를 하던 어느 날, 임계점에 이르는 것을 경험하게 됩니다. 그날 이후로 내면에 축적되어 있던 글들이 서서히 솟구쳐 올라옵니다. 책읽기 없이 글쓰기는 없습니다.

독서의 중요성은 마치 ‘좋은 음식’을 만드는 요리와 같습니다.  

“좋은 음식은 좋은 재료에서 출발한다. 훌륭한 요리사는 좋은 재료를 알아보고, 좋은 재료를 위해서는 어떤 값이라도 치른다. (중략) 글도 마찬가지이다. 좋은 글은 좋은 글 재료에서 나온다. 좋은 글 재료는 좋은 책에서 나온다.” (P.88).

C.S.루이스 교수는 ‘책읽기’에 대해서, 강준민 목사는 ‘글쓰기’에 대해서 말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같은 주제를 말합니다. Input 할 때 항상 Output을 생각해야 합니다. 책을 읽을 때 막 읽지 말고 책으로 나올 나의 글작업을 생각하면서 읽어야 합니다. 글쓰기에 성공한 사람은 책읽기에 성공한 사람이고, 책읽기에 성공한 사람만이 글쓰기에 성공할 수 있습니다!  

‘좋은 글’은 ‘좋은 책에’서 나오기에 먼저 좋은 책을 잘 선정하여, 잘 읽는 데 전념해야 합니다. ‘아무 책’이나 읽지 말고, ‘좋은 책’을 읽어야 합니다. 어떻게 좋은 책을 읽을 수 있을까요? 일단 많이 책을 읽는 것입니다.  그래야 어떤 책이 좋은 책이고, 어떤 책이 나쁜책인지 분별할 안목이 생깁니다. 

독서의 좋은 자세에 대한 모티머 애들러의 말을 꼭 기억합시다. 좋은 책의 관건은 우리가 몇 권을 독파하느냐가 아니라 그 중 몇 권이 우리를 독파하느냐에 달려있습니다.

2022년 8월 30일 화요일 9pm(동부시간)에 목사들의 새로운 ‘북클럽’이 시작됩니다.

7교단(Wesleyan Church, Southern Baptist, RCA, KAPC, PCA, 기독교대한성결교회,미주성결교회) 그리고 7지역(미국 서부, 중부, 동부, 캐나다 서부, 동부, 아마존, 한국)의 스물 아홉 명의 목사들이 함께 합니다.   

다양한 교단 배경, 다양한 지역의 목사들이 모여서 책을 읽고 나누기를 시작하기 전에 이 두 권의 책을 강력하게 추천합니다. C,S,루이스 교수와 강준민 목사의 책은 단순히 책읽기 글쓰기 기술만을 가르치지 않습니다. 그들의 철학. 신학 그리고 인격과 인생을 배우게 되어서 좋은 독서가와 작가로 발돋움하는 데 큰 도움을 줄 것입니다.   

이 글을 쓰면서 성결교단 동역자들에 대한 꿈이 생깁니다. 

우리 ‘좋은 책’을 읽어 우리의 존재가 먼저 확장되어 가고, 그러다가 어느 날 ‘좋은 글’을 써서 코로나의 고통과 반기독교 정서의 피로감으로 지쳐있는 하나님의 사람들에게 힘을 주면 어떨까요? 

 

즐거운 일이라고는 전혀 없는 정치, 경제, 사회 뉴스 속에 행복한 하나님의 존재를 확장시켜나가는 좋은 독서가, 좋은 작가가 되어가면 어떨까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0 오두막 92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룽잉타이의 '눈으로 하는 작별'이고, 신앙서적은 존 레녹스의 '코로나아비러스 세상, 하나님은 어디에 계실까?' 입니다 전우철 2020.09.15 49
179 오두막 163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양태자 박사의 ‘중세의 뒷골목 풍경’이고, 신앙서적은 이길용 교수의 ‘루터’입니다. 전우철 2023.03.10 49
178 오두막 157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켈리 세이컨 교수의 ‘죽음이란 무엇인가’이고, 신앙서적은 위르겐 몰트만 교수의 ‘나는 영생을 믿는다’입니다. 전우철 2023.03.10 50
177 오두막 165번째 이야기 -일반 서적은 최석호 교수의 '골목길 역사산책: 한국사편’이고, 신앙 서적은 데이비드 플랫 목사의 ‘복음이 울다’입니다. 전우철 2023.03.10 50
176 오두막 162번째 이야기 전우철 2023.03.10 51
175 오두막 174번째 이야기 전우철 2023.03.10 51
174 오두막 105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위기철 작가의 ‘아홉살 인생’이며, 신앙서적은 조이 도우슨의 ‘아이들에게 물려 줄 최고의 유산’ 입니다. 전우철 2020.10.08 52
173 오두막 183번째 이야기 전우철 2023.08.11 52
172 오두막 80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한근태 작가님의 ‘고수의 학습법’이고, 신앙서적은 A.W.토저의 ‘말씀이 힘이다’ (God’s Power for Your Life)입니다. 전우철 2020.09.07 53
171 오두막 97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엄종열 원장님의 '그림으로 배우는 한국문화유산'이고, 신앙서적은 D.A.카슨 교수님의 '교회와 문화, 그 위태로운 관계'입니다. 전우철 2020.09.23 54
170 오두막 69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통계학 분야의 세계적 석학이신 한스 로슬링의 'Factfullness/사실충실성'이고, 신앙서적은 이시대의 선지자이자 최고의 설교가인 A.W토저의 '하나님의 길에 우연은 없다' 입니다. 전우철 2020.08.14 56
169 오두막 175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밀란 쿤데라의 '무의미의 축제'이고, 신앙서적은 팀 켈러의 '인생질문'입니다. 전우철 2023.03.10 56
168 오두막 113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히가시노 게이고의 '공허한 십자가'이고, 신앙서적은 마르틴 엥엘의 '십자가 처형' 입니다. 전우철 2020.11.17 57
167 오두막 96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김치경박사님이 쓰신 '한국민족의 빛을 찾아서'이고, 신앙서적은 이신건교수님의 '어린이신학' 입니다. 전우철 2020.09.22 57
166 오두막 112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칼 세이건의 '코스모스'이고, 신앙서적은 알리스터 맥그래스의 '우주의 의미를 찾아서' 입니다. 전우철 2020.11.17 58
165 오두막 85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J.D.샐린저의 '호밀밭의 파수꾼' (The Catcher In The Rye)이고, 신앙서적은 김요셉목사의 '삶으로 가르치는 것만 남는다' (Teaching Is Caught, Not Taught) 전우철 2020.09.07 59
164 오두막 148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미셸 겔펀드 교수의 ‘선을 지키는 사회, 선을 넘는 사회’이고, 신앙서적은 이정근 목사의 ‘목회자의 최고 표준 예수 그리스도’입니다. 정안젤라 2021.04.14 59
163 오두막 145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이노우에 히로유키의 ‘내가 찾던 것들은 늘 내 곁에 있었다’이고, 신앙서적은 숀 러브조이의 ‘목회의 진실’입니다. 정안젤라 2021.04.14 60
162 오두막 171번째 이야기 - 일반 서적은 김성현 목사의 ‘노랑 생각’이고, 신앙 서적은 마르틴 행엘 교수의 ‘초기 기독교의 사회경제사상’입니다. 전우철 2023.03.10 60
161 오두막 143번째 이야기 -일반서적은 에카르트 폰 히르슈하우젠의 '행복은 혼자 오지 않는다'이고, 신앙서적은 러셀 무어의 '폭풍 속의 가정'입니다. 정안젤라 2021.04.14 6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