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오두막 (5분에 책 두권 막 읽어주는 목사) Reading Pastor

.

 

오두막 170번째 이야기   ‘내가 살아야 하는 이유하나님이 나와 사시는 이유’

 

오늘 소개하는 일반서적은 미하엘 하우스켈러의 ‘왜 살아야 하는가’이고 신앙서적은 전대진의 ‘하나님  살고 있나요?’입니다.

일반서적입니다미하엘 하우스켈러는 리버풀대학교에서 철학을 가르치고 있는 교수입니다.

‘왜 살아야 하는가’라는 책은 ‘삶과 죽의 의미’를 사상가 10인의 철학과 고전을 읽고 심도 깊게 탐구한 책입니다영어  제목도 The Meaning of Life and Death’입니다.

2022년에 읽은 인문과학  중에서 ‘삶과 죽음’의 ‘궁극적 의미’에 관한  중에서 가장 탁월한 책이라 생각합니다.

 책의 독특함은 10인의 철학 사상가들이 보인  전체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비교 분석한 후에 적당한 결론을 맺지 않고 독자들이 직접 자신의 결론을 내릴  있게  것입니다.

“사람들은 보통 철학 서적이 끝날 때면 적당한 결론이 등장해 책을 통해 어떤 내용을 전달하고자 했고 어떤 목표를 달성하고자 했는지 독자에게 소개해주리라 기대한다미안하지만 나는 그런 기대를 실망시킬 수밖에 없을  같다 책에는 결론이 없기 때문이다아마 눈치를 챘겠지만  개의   어떤 장에도 결론이 등장하지 않는다.(P.434).

저자가 궁극의 질문에 대한 해답을 주지 않으므로 ‘삶이 살만한 가치가 있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대답은 ‘삶을 사는 사람’에게 달려 있음을 깨닫게 합니다.

“우리는 아직 끝에 도달하지도 않았다그러므로 너무 늦었다고 생각하지 말고 우리의 삶이 의미를 지니도록 만들어보자그리고  책에서 무언가 기억에 남기를 바란다면 이것만 기억하자삶이  만한 가치가 있는가는 삶을 사는 사람에게 달려 있다.(P.435).

신앙서적입니다전대진은 유기성 목사가 추천한 영성일기를 쓰기 시작하다가 크리스챤 서적의 베스트셀러가  작가로서 지난 6년간 기록한 예수동행일기를 엮어 책을 만들었습니다.

‘하나님  살고 있나요?’는 ‘살아라’가 아니라 ‘살았다’를 기록한 책입니다.

‘살아낸 것만 말하고나만 살아내지 않고남도 살아내도록 돕는 삶’에 대하여 도전합니다.

 권의 책이 철학과 영성일기라는 전혀 다른 장르이지만 미묘한 공통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10인의 철학 사상가들이 논한 어떤 장에도 결론을 제시하지 않았듯이영성일기에서 소개하고 있는 하나님 역시 삶과 죽음의 의미에 정답을 주고 있지 않습니다.

“하나님은 정답을 알려주지 않으신다애초에 정답이란  없다고 하신다.(P.14).

그러나 영성일기에는 철학 책에서 발견할  없는 숨은 하나님의 대답이 있습니다하나님의 관심사는 삶과 죽음의 목적지가 아니라  목적지까지 가는 사람의 길을 ‘동행 하시는 하나님’ 이심을 귀띔해 주고 있습니다

“하나님의 관심사는 ‘목적지’가 아니라 ‘나와 함께 하시는 것’이다하나님은 내가 자라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할지 고민하고 계속 시도하기를 멈추지 말라 하신다.(P.14).

철인의 길을 걷고 싶었던 20 젊은 시절의 질문은 미하엘 하우스켈러의  제목이었습니다‘왜 살아야 하는가’

목사의 길을 20 즈음 걷고 있는 나의 질문이 바뀌었습니다‘누구와 살고 있는가’

질문이 바뀌니까 나의 고민이 달라집니다‘왜 살아야 하는가’에서 ‘누구와 살고 있는가’로 질문이 바뀌자 ‘내가 살아야 하는 이유’ 보다 ‘하나님이 나와 사시는 이유’에 대한 고민을 하게 됩니다.

Westminster 신학교의 변증학 교수인 박성일 목사랑 대화하는 중에 ‘웨스트민스터 소요리 문답  번째 질문이  수정되어야 하지 않는가’라는 그의 생각을 듣게 되었습니다.   

“사람의 제일 되는 목적을 먼저 묻는 것보다 하나님의 하나님 되심(ontology) 무엇인가를 묻는  중요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전적으로 동의합니다‘내가  살아야 하는가’라는 질문 보다 ‘내가 누구와 살고 있는가’를 질문하는 것이 목사의 제일 되는 목적이 되어야  것입니다.

우리의 존재 목적이 하나님을 빼고 생각할  없기에 하나님의 하나님 되심을  순간 질문하면서 목회의 여정을 하나님과 동행하는 목사가 되기를 소망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0 오두막 124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장기하의 '상관없는 거 아닌가?'이고, 신앙서적은 조나단 에드워즈의 '점검'입니다. 전우철 2020.11.27 222
179 '파스칼과 죠나단 에드워즈' - 팡세 (블레즈 파스칼) / 놀라운 부흥과 회심 이야기 (죠나단 에드워즈) 전우철 2020.07.17 221
178 'The Radical Disciple 함께 있는 것이 보냄을 받는 것 보다 더 우선순위입니다' - 1cm+ (김은주) 1cm다이빙 (태수 문정) / 제자도 (윤석길) 제자도 (존 스토트) 전우철 2020.06.17 214
177 '만족' - 나는 둔감하게 살기로 했다 (와다나베 준이치) / '단기선교에서 배우는 하나님' (전희근) [2] 전우철 2020.04.02 213
176 '마지막때, 우리는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가?' - 백만장자의 마지막 질문 (김용규), 잊혀진 질문 (차동엽) / 친절한 계시록 (정은일) 전우철 2020.06.11 211
175 'POLITEIA 국가란 무엇인가?' - 국가론 (플라톤) / 뭐야, 예수 믿는다구? (이정근) 전우철 2020.06.03 208
174 오두막 106번째 이야기 -일반서적은 황지우 시인의 '어느 날 나는 흐린 주점에 앉아 있을 거다'이고, 신앙서적으로는 헨리 나우웬의 '춤추시는 하나님'입니다. 전우철 2020.10.08 208
173 오두막 102번째 이야기 -일반서적은 박웅현 작가의 '여덟 단어'이고, 신앙서적은 윌리엄스틸 목사의 '목사의 길'입니다. 전우철 2020.10.02 207
172 'Undertaker 장의사'' - 사피엔스 (유발 하라리) / 신을 죽이려는 사람들 (존 레녹스) 전우철 2020.06.12 196
171 'Sink Hole 한국교회에 싱크홀이 생겼습니다' - 이교에 물든 기독교 (프랭크 바이올라/조지 바나) / 미셔널 처치 (최동규) 전우철 2020.05.15 192
170 오두막 133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황동규의 '오늘 하루만이라도'이고, 신앙서적은 헬무트 틸리케의'현실과 믿음 사이' 입니다. 전우철 2020.12.22 192
169 오두막 188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존 밀턴의 '실락원'이고, 신앙 서적은 존 비비어의 '순종'입니다. 전우철 2023.08.11 190
168 'Transformation의 크기는, Information의 크기에 달려있다' - 뉴스의 시대 (알랭 드 보통) / 말씀묵상과 예수님을 닮아가는 삶 (강준민) 전우철 2020.05.05 179
167 오두막 186번째 이야기 – 일반 서적은 케런 리날디의 ‘나는 파도에서 넘어지며 인생을 배웠다’ 이고, 신앙 서적은 존 오트보그의 ‘물 위를 걸으려면 단순하게 믿으라’ 입니다. 전우철 2023.08.11 177
166 'Logo-Therapy 로고 테라피 vs 로고스 테라피' - 빅터 프랭클의 죽음의 수용소에서 (빅터 브랭클) / 약함이 길이다 (제임스 패커) 전우철 2020.07.24 176
165 '세속공간을 변화시키는 것' - 신인류와 문화콘텐츠 그리고 대중문화 (이길용) / 이머징 교회 (에디깁스/라이언볼저) 전우철 2020.05.04 175
164 '기다림' - 사람사전 (정철) / 열 두 예언자의 영성 (차준희) 전우철 2020.05.22 173
163 '남북통일을 위한 기도'' - 나쁜 사마리아인들(장하준)/대천덕신부의 통일을 위한 코이노니아'(대천덕) 전우철 2020.05.12 173
162 '죽음' - 어떻게 살 것인가 (유시민) / 따미탕 (전영규) 전우철 2020.03.27 172
161 'The Book 내 인생의 책' - 잘못은 우리 별에 있어 (존 그린) / 삶을 위한 신학 (앨리스터 맥그래스) [2] 전우철 2020.05.07 172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