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오두막 (5분에 책 두권 막 읽어주는 목사) Reading Pastor

.

 

오두막 170번째 이야기   ‘내가 살아야 하는 이유하나님이 나와 사시는 이유’

 

오늘 소개하는 일반서적은 미하엘 하우스켈러의 ‘왜 살아야 하는가’이고 신앙서적은 전대진의 ‘하나님  살고 있나요?’입니다.

일반서적입니다미하엘 하우스켈러는 리버풀대학교에서 철학을 가르치고 있는 교수입니다.

‘왜 살아야 하는가’라는 책은 ‘삶과 죽의 의미’를 사상가 10인의 철학과 고전을 읽고 심도 깊게 탐구한 책입니다영어  제목도 The Meaning of Life and Death’입니다.

2022년에 읽은 인문과학  중에서 ‘삶과 죽음’의 ‘궁극적 의미’에 관한  중에서 가장 탁월한 책이라 생각합니다.

 책의 독특함은 10인의 철학 사상가들이 보인  전체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비교 분석한 후에 적당한 결론을 맺지 않고 독자들이 직접 자신의 결론을 내릴  있게  것입니다.

“사람들은 보통 철학 서적이 끝날 때면 적당한 결론이 등장해 책을 통해 어떤 내용을 전달하고자 했고 어떤 목표를 달성하고자 했는지 독자에게 소개해주리라 기대한다미안하지만 나는 그런 기대를 실망시킬 수밖에 없을  같다 책에는 결론이 없기 때문이다아마 눈치를 챘겠지만  개의   어떤 장에도 결론이 등장하지 않는다.(P.434).

저자가 궁극의 질문에 대한 해답을 주지 않으므로 ‘삶이 살만한 가치가 있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대답은 ‘삶을 사는 사람’에게 달려 있음을 깨닫게 합니다.

“우리는 아직 끝에 도달하지도 않았다그러므로 너무 늦었다고 생각하지 말고 우리의 삶이 의미를 지니도록 만들어보자그리고  책에서 무언가 기억에 남기를 바란다면 이것만 기억하자삶이  만한 가치가 있는가는 삶을 사는 사람에게 달려 있다.(P.435).

신앙서적입니다전대진은 유기성 목사가 추천한 영성일기를 쓰기 시작하다가 크리스챤 서적의 베스트셀러가  작가로서 지난 6년간 기록한 예수동행일기를 엮어 책을 만들었습니다.

‘하나님  살고 있나요?’는 ‘살아라’가 아니라 ‘살았다’를 기록한 책입니다.

‘살아낸 것만 말하고나만 살아내지 않고남도 살아내도록 돕는 삶’에 대하여 도전합니다.

 권의 책이 철학과 영성일기라는 전혀 다른 장르이지만 미묘한 공통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10인의 철학 사상가들이 논한 어떤 장에도 결론을 제시하지 않았듯이영성일기에서 소개하고 있는 하나님 역시 삶과 죽음의 의미에 정답을 주고 있지 않습니다.

“하나님은 정답을 알려주지 않으신다애초에 정답이란  없다고 하신다.(P.14).

그러나 영성일기에는 철학 책에서 발견할  없는 숨은 하나님의 대답이 있습니다하나님의 관심사는 삶과 죽음의 목적지가 아니라  목적지까지 가는 사람의 길을 ‘동행 하시는 하나님’ 이심을 귀띔해 주고 있습니다

“하나님의 관심사는 ‘목적지’가 아니라 ‘나와 함께 하시는 것’이다하나님은 내가 자라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할지 고민하고 계속 시도하기를 멈추지 말라 하신다.(P.14).

철인의 길을 걷고 싶었던 20 젊은 시절의 질문은 미하엘 하우스켈러의  제목이었습니다‘왜 살아야 하는가’

목사의 길을 20 즈음 걷고 있는 나의 질문이 바뀌었습니다‘누구와 살고 있는가’

질문이 바뀌니까 나의 고민이 달라집니다‘왜 살아야 하는가’에서 ‘누구와 살고 있는가’로 질문이 바뀌자 ‘내가 살아야 하는 이유’ 보다 ‘하나님이 나와 사시는 이유’에 대한 고민을 하게 됩니다.

Westminster 신학교의 변증학 교수인 박성일 목사랑 대화하는 중에 ‘웨스트민스터 소요리 문답  번째 질문이  수정되어야 하지 않는가’라는 그의 생각을 듣게 되었습니다.   

“사람의 제일 되는 목적을 먼저 묻는 것보다 하나님의 하나님 되심(ontology) 무엇인가를 묻는  중요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전적으로 동의합니다‘내가  살아야 하는가’라는 질문 보다 ‘내가 누구와 살고 있는가’를 질문하는 것이 목사의 제일 되는 목적이 되어야  것입니다.

우리의 존재 목적이 하나님을 빼고 생각할  없기에 하나님의 하나님 되심을  순간 질문하면서 목회의 여정을 하나님과 동행하는 목사가 되기를 소망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0 오두막 189번째 이야기 - 일반 서적은 허지웅의 '살고 싶다는 농담'이고, 신앙 서적은 오스 힐먼의 '결정의 책'입니다. 전우철 2024.03.01 1
199 오두막 190번째 이야기 - 일반 서적은 이노우에 히로유키의 ‘내가 찾던 것들은 늘 내 곁에 있었다’이고, 신앙 서적은 숀 러브조이의 ‘목회의 진실’입니다 전우철 2024.03.01 2
198 오두막 191번째 이야기 - 일반 서적은 한스 로슬링의 'Factfullness(사실충실성)'이고, 신앙 서적은 A.W토저의 '하나님의 길에 우연은 없다.' 입니다. 전우철 2024.03.01 2
197 오두막 192번째 이야기 - 일반 서적은 조지 오엘의 ‘동물농장’이고, 신앙 서적은 김명용 교수의 ‘칼 바르트의 신학’입니다. 전우철 2024.03.01 2
196 오두막 194번째 이야기 - 일반 서적은 리처드 도킨스 교수의 ‘이기적 유전자’이고, 신앙 서적은 박영식 교수의 ‘창조의 신학’입니다. 전우철 2024.03.01 2
195 오두막 193번째 이야기 - 일반 서적은 유시민 작가의 ‘어떻게 살 것인가’이고, 신앙 서적은 전영규 목사의 ‘따미탕’입니다 전우철 2024.03.01 4
194 오두막 199번째 이야기 - 일반 서적은 마이클 슈어의 ‘더 좋은 삶을 위한 철학’이고, 신앙 서적은 마이클 고먼의 ‘삶으로 담아내는 복음’입니다. 전우철 2024.04.30 6
193 오두막 200번째 이야기 - 일반 서적은 엘런 카스텔의 '나이 듦의 이로움'이고 신앙 서적은 폴 스티븐스의 '나이 듦의 신학'입니다 전우철 2024.04.30 9
192 오두막 195번째 이야기 - 일반 서적은 리처드 도킨스의 '만들어진 신’이고, 신앙 서적은 데이비드 램의 ‘내겐 여전히 불편한 하나님’입니다. 전우철 2024.03.01 12
191 오두막 198번째 이야기 - 일반 서적은 헨리 나우웬과 캐럴린 휘트니브라운의 ‘날다, 떨어지다, 붙잡다’이고, 신앙 서적은 김일환 전도사의 ‘무명’입니다. 전우철 2024.04.05 12
190 오두막 197번째 이야기 -일반 서적은 룰루 밀러의 ‘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이고, 신앙 서적은 헨리 나우웬의 ‘데이브레이크로 가는 길’입니다. 전우철 2024.03.12 20
189 오두막 196번째 이야기 - 일반 서적은 앵거스 플레처 교수의 ‘우리는 지금 문학이 필요하다’이고, 신앙 서적은 신영춘 교수의 ‘탄식과 구원의 메타포’입니다. 전우철 2024.03.01 22
188 오두막 168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박은미 교수의 ‘쇼펜하우어의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이고, 신앙서적은 최동규 교수의 ‘포스트모던 시대의 목회’입니다 전우철 2023.03.10 39
187 오두막 164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이항심 교수의 '시그니처'(SIGNATURE)이고, 신앙서적은 허천회 박사의 '웨슬리의 생애와 신학' 입니다. 전우철 2023.03.10 40
186 오두막 161번째 이야기 전우철 2023.03.10 41
185 오두막 159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강영안 교수의 '읽는다는 것'이고, 신앙서적은 코넬리우스 플랜팅가 Jr 교수의 ‘설교자의 서재’입니다. 전우철 2023.03.10 42
184 오두막 158번째 이야기 -일반 서적은 조정래 작가의 ‘홀로 쓰고, 함께 살다’이고, 신앙 서적은 이재철 목사의 ‘목사, 그리고 목사직’입니다. 전우철 2023.03.10 43
183 오두막 166번째 이야기 - 일반 서적은 나카노 노부코 교수의 ‘정의 중독’이고, 신앙서적은 윤석길 교수의 ‘질문하며 읽는 바울신학’입니다. 전우철 2023.03.10 45
182 오두막 160번째 이야기 - '희곡같은 소설, 설화 같은 사실' 전우철 2023.03.10 46
181 오두막 167번째 이야기 - 일반 서적은 말콤 글래드웰의 ‘어떤 선택의 재검토’이고, 신앙 서적은 차준희 교수의 ‘성도가 묻고 성경이 답하다’입니다 전우철 2023.03.10 47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