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오두막 (5분에 책 두권 막 읽어주는 목사) Reading Pastor

.

  오두막 172번째 이야기 이태원참사의 희생자들을 위한 탄원시

 

오늘 소개하는 일반 서적은 김재식 작가의 홀로 서는 시간이고, 신앙 서적은 차준희 교수의 시인의 영성 2’입니다.

 

일반 서적입니다. 김재식 작가는 희귀 난치병을 얻어 사지 마비로 자리에 누운 아내를 병간호하며 글을 쓰는 간병 남편 출간 작가입니다. 고된 하루를 버텨내며 내일을 꿈꿀 여력이 없는 자신을 하루살이로 표현하지만, 자신의 처지와 비슷한 상황에 놓여있는 사람들에게 희망을 나누어주는 힐링 작가입니다.

 

45편의 시와 글이 실려 있는 책은 마치 시편의 찬양시, 탄원시, 감사시를 읽는 듯한 느낌입니다. 이 중에서 이 책을 가장 잘 표현한 것 같은 글과 시를 소개합니다.

 

“’나 아니면 살지도 못하는 처지면서.’ 갑자기, 정말 불쑥 속에서 이런 말이 올라왔다. 목에서 급히 멈추어 말로 나오지는 않고 도로 내려갔다... 만일 그 말이 입 밖으로 나와 아내에게 전달되었다면 그 가시는 필경 아내를 찔러 피투성이로 만들었을 거다. 입에서는 멈추었지만... 어쩌면 이미 늦었는지도 모른다. 그 가시는 듣지 못한 아내를 찌르지 않았지만, 생각으로 떠올린 나는 이미 찔렸다. 그리고 나만이 아니라 내게 실망한 하나님도 찔렸다.” (P.11).

 

그만 사는 것은 쉽습니다. 계속 사는 것이 어렵습니다. 이제 그만할까 싶을 때마다 생각합니다. 좌절은 오늘만 죽는 것이 아니라 내일도 죽는다는 사실을. 그만 살까 싶을 때도 생각합니다. 그건 나만 죽는 것이 아니라 나를 사랑하는 사람들도 상처받고, 생명 외에도 많은 것을 상실한다는 것을.” (P.56).

 

‘3시간 남편이라는 애칭으로 불린 남편(3시간마다 아내의 소변을 도와주어야 하기에 자기의 시간을 갖지 못하는 남편에 대한 별명) 없이는 스스로 홀로서기를 못하는 아내 이야기를 통해 하나님 없이는 단 1시간, 아니 11초도 살 수 없는나 자신을 발견합니다. 이 책을 읽으면서 포기할까생각을 하다가도 내 생명의 주관자이신 하나님 때문에 힘을 내었던 지난날이 주마등처럼 스쳐 지나갑니다.

 

신앙 서적입니다. 차준희 교수는 독일 본 대학교에서 구약학을 전공한 신학자입니다. ‘시인의 영성 2’시인의 영성 1’의 후속책으로서 시편 51편부터 100편까지의 해설과 묵상입니다. ‘시인의 영성 1’도 좋은 책이었는데, 이번 시인의 영성 2’는 굉장한 책입니다.

 

이 책 전체의 글은 깨달음과 감동의 내용이지만 그중에서 3가지만 나눕니다.

 

첫째는, 시편의 표제가 처음부터 본문과 함께 기록된 것이 아니기에 해석의 기초가 아닌 해석의 영향을 받은 결과물입니다. 둘째는, 시편의 대표적인 장르는 찬양시, 탄원시, 감사시이고 그것은 각각 방향 설정의 시’(찬양시), ‘방향 상실의 시’(탄원시), ‘방향 재설정의 시’(감사시)입니다. 셋째는, 시편 88편을 통해 본 개인 탄원시에 대한 깨달음입니다.

 

시편 13편의 말씀을 해석할 때 저자는 탄원시의 요소를 부름/불평/간구/신뢰/찬양이라고 말합니다. 그런데 시편 88편에는 모든 단계는 생략되고 탄원하는 내용만 적혀있는데 이 시도 탄원시로 분류합니다. 하나님을 신뢰하며 토설하는 기도야말로 탄원시라는 것입니다.

 

이 시는 하나님과 사람으로부터 완전히 고립된 사람이 내뱉는 처절한 마지막 절규다. 시인은 인생이 항상 해피엔딩으로 끝나지 않음을 상기시킨다. 이런 시가 성경의 시편에 포함되어 있다는 사실은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우리의 삶이 실제로 이러하기 때문이다. 믿음이 항상 삶의 문제를 해결해주는 것은 아니다. 그저 견디게만 해줄 때도 있다.” (P.430).

 

지난 1029일에 150여 명의 목숨을 앗아간 최악의 압사 사고가 이태원에서 일어났습니다. 자녀를 잃어버린 피해자 어머니가 바닥에 앉아 땅을 치며 목 놓아 우는 장면이 제 머릿속에서 지워지지 않습니다. “내 딸이 저기 누워있어요!”

 

어머니의 탄원하는 외침이 사람에게 했는지, 아니면 하나님에게 했는지는 잘 모릅니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토설하는 어머니의 울부짖음에 하나님께서는 어떤 모습으로든지 반응하시고 신만이 줄 수 있는 위로와 평안을 주시리라 의심하지 않습니다.

 

구약의 오래된 시편 기자의 탄원시가 202210월에 피부로 와 닿습니다. 자식을 잃은 어미의 슬픔에 인간의 위로가 쉽지 않겠지만, 자식을 잃은 어미의 슬픔을 이해하고 위로해줄 사람은 없겠지만, 자기의 외아들 예수의 토설하는 부르짖음을 기억하는 하나님만은 외면하지 못하실 것입니다. “나의 하나님, 나의 하나님, 어찌하여 나를 버리시나이까!”

 

고통의 시대를 살아가는 모든 그리스도인에게 차준희 교수의 시편 89편 메시지로 위로를 드립니다.

 

우리는 시인의 권고대로 하나님이 없어”(ohne Gott) 보이는 상황에서도 하나님 앞에”(vor Gott) 나아가 하나님께”(zu Gott) 끊임없이 말을 걸어야 한다!“ (P.445).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1 180번째 오두막 이야기 - 일반 서적은 강영안 교수의 ‘읽는다는 것’이고, 신앙 서적은 코넬리우스 플랜팅가 Jr 교수의 ‘설교자의 서재’입니다. 전우철 2023.05.22 114
120 '감사' - 가짜와 진짜 (김승옥) / 꽃들의 소망 (전기철) [2] 전우철 2020.03.31 109
119 181번째 오두막 이야기 - 일반 서적은 단테의 '신곡'이고, 신앙 서적은 프랜시스 첸의 '지옥은 없다?'입니다. 전우철 2023.05.22 109
118 '가족' - 당신이 옳다 (정혜신) / 유대인의 눈으로 본 예수 (데이빗 비번) 전우철 2020.03.25 107
117 '걱정' - 걱정 없는 삶 (린다 민들) / 구원의 허리를 동이고 (김성원) 전우철 2020.04.01 99
116 오두막 76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김수민 작가님의 ‘너라는 위로’이고, 신앙서적은 더그뮤렌 목사님의 ‘치유하는 교회’ 입니다. 전우철 2020.08.17 97
115 '청년' - 90년생이 온다 (임홍택) / 예수운동은 청년메시아운동 이었다 (허천회) [2] 전우철 2020.03.26 95
114 오두막 110번째 이야기 -일반서적은 프레드릭 배크안의 '오베라는 남자'이고, 신앙서적은 켄 시게마츠의 '상황에 끌려다니지 않기로 했다' 입니다. 전우철 2020.11.17 93
113 오두막 137번째 이야기 -일반서적은 알란 캐스터의 '나이듦의 이로움' 이고, 폴 스티븐슨의 '나이듦의 신학' 입니다. 정안젤라 2021.04.14 91
112 오두막 141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최인철 교수님의 '프레임'이고, 신앙서적은 제임스 패커 목사님의 '하나님을 아는 지식'입니다. 정안젤라 2021.04.14 90
111 오두막 176번째 이야기 - 일반 서적은 이묵돌 작가의 ‘천재들은 파란색으로 기억된다’이고, 신앙 서적은 김기현 목사의 ‘욥, 까닭을 묻다’입니다. 전우철 2023.03.10 90
110 오두막 121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유발 하라리의 '호모 데우스'이고, 신앙서적은 게할더스 보스의 '성경신학' 입니다. 전우철 2020.11.17 89
» 오두막 172번째 이야기 - 일반 서적은 김재식 작가의 ‘홀로 서는 시간’이고, 신앙 서적은 차준희 교수의 ‘시인의 영성 2’입니다. 전우철 2023.03.10 89
108 오두막 127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플라톤의 '소크라테스의 대화록'이고, 신앙서적은 조재형교수님의 '초기 그리스도교와 영지주의' 입니다. 전우철 2020.12.07 88
107 오두막 140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케런 리날디의 ‘나는 파도에서 넘어지며 인생을 배웠다’ 이고, 신앙서적은 존 오트보그의 ‘물 위를 걸으려면 단순하게 믿으라’ 입니다. 정안젤라 2021.04.14 86
106 오두막 87번째 이야기 -일반서적은 송원석 정명효 작가님들이 쓰신 '사라져 가는 것들에 대하여'라는 책이고, 신앙서적은 달라스 윌라드의 '잊혀진 제자도'라는 책입니다. 전우철 2020.09.07 85
105 오두막 149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조현의 '우린 다르게 살기로 했다'이고, 신앙서적은 A.W.토저의 '세상과 충돌하라'입니다. 정안젤라 2021.04.14 85
104 오두막 108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밀란 쿤데라의 '농담'이고, 신앙서적은 존 파이퍼의 '하나님의 방법대로 설교하십니까' 입니다 전우철 2020.10.14 84
103 오두막 74번째 이야기 주제 – 일반서적은 밀란 쿤데라 작가님의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이고, 신앙서적은 차준희 교수님의 ‘시가서 바로읽기 입니다. 전우철 2020.08.14 83
102 오두막 75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밀란 쿤데라의 '무의미의 축제'이고, 신앙서적은 팀 켈러의 '인생질문'입니다. 전우철 2020.08.14 83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