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오두막 (5분에 책 두권 막 읽어주는 목사) Reading Pastor

.

 

오두막 175번째 이야기 – ‘무의미의 축제 vs 의미의 축제

오늘 소개하는 일반서적은 밀란 쿤데라의 '무의미의 축제'이고, 신앙서적은 켈러의 '인생질문'입니다.

일반서적입니다. 체코출신 작가 밀란 쿤데라는 마지막 소설책을 쓰고 14년만에 '무의미의 축제' 발표합니다. 기승전결을 무시하고 전개되는 짧은 소설, 줄거리가 정리되지 않는 이야기 때문인지 역설적으로 깊이 책의 매력에 빠지게 됩니다.  

특별히 그의 소설 기법인 대조법을 통해 소설 ‘농담’에서는 ‘농담과 진담’을, '참을 없는 존재의 가벼움'에서는 '무거움과 가벼움' 인지하게 하였다면, ‘무의미의 축제’에서는 '의미와 무의미' 대조하여 인생의 의미와 무의미를 깨닫게 합니다.

소설의 주제는 제목 자체에서부터 풍기듯이 무의미한 인생의 의미 밝히겠다는 것이고, 하찮은 일상이라 할지라도 오히려 의미가 있는 축제 있다는 것을 밀란 쿤데라의 독특한 소설기법으로  말하고 있습니다.

소설은 프랑스 파리에 사는 알랭, 라몽, 샤를, 칼리방, 다르델로 파리 남자들이 겪는 인생의 자질구레한 이야기들이 시공간적 배경의 일관성 없이 전개됩니다. 소설의 이야기를 소개하기에는 지면이 좁기에 대표적인 무의미의 축제 소개하면 다르델로와 라몽의 대화입니다.

다르델로는 옛직장 동료였던 라몽의 '즐겁게 사시는 같네요'라는 단순한 안부인사가 맘에 들지 않아서 자신이 '' 걸렸다고 거짓말을 합니다. 그리고 다음날 칵테일 파티를 마치고 다시 뤽상부르 공원에서 다시 우연히 마주친 라몽은 다르델로에게 '' 걸린 동료를 위로하는 메세지로 '무의미의 축제' 이야기합니다.

"무의미, 그것을 인정해야 해요. 그리고 나아가 사랑해야 합니다."

신앙서적입니다. 켈러는 요한복음의 예수를 통하여 모든 사람이 한번쯤은 봤을 법한 질문 무의미한 인생에서의 의미있는 대한 대답을 주고 있습니다.

회의론자였던 나다나엘과의 만남, 지성인이었던 니고데모와의 만남, 나사로의 죽음을 직면한 마르다와 마리아와의 만남 등을 통해 무의미한 인생을 의미있는 것으로 여기라 아니라 무의미한 인생이 어떻게 의미있게 되는가 대한 길을 이야기합니다. 

'인생질문' 서문에 다음과 같은 글이 있습니다. "인간은 삶의 의미를 찾기 위해 수많은 질문에 둘러 쌓여 산다. 기독교는 예수가 모든 것의 ''이라고 말한다."

예수는 나사로의 죽음을 직면하고 있는 마르다에게 '죽음 뒤에 있을 부활 대하여 가르칩니다. 밀란 쿤데라가 암에 걸린 다르델로에게 슬픔을 이기기 위한 무의미의 축제 가르쳤다면, 켈러는  나사로의 죽음을 두고 슬픔에 잠긴 마르다에게 실재하는 의미의 축제 나아가도록 인도합니다.

예수는 나사로의 죽음을 받아들이라고 하지 않습니다. 죽음에 순응하라고 하지 않습니다. 죽음도 의미가 있다라고 말하지 않습니다. 무의미한 인생을 축제로 여기라고 주장하지도 않습니다.

예수는 무의미하게 살아가는 인간에게 의미있는 인생 주기 위하여 가장 의미있는 죽음 선택하셨습니다. 그의 십자가 죽음은 세상이 '무의미한 죽음이라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사람을 살리기 위한 가장 의미있는 행동 감행하신 것입니다.  

밀란 쿤데라의 책을 통해 '무의미의 축제 배웁니다. 그리고 켈러의 책을 통해 '의미의 축제 배웁니다. 밀란 쿤데라는 '무의미의 축제' 사랑하라고 말하지만, 켈러는 ‘의미의 축제’를 붙잡고 계신 예수를 사랑하라고 말합니다.

요즘처럼 무의미한 나날을 보낼 때가 있을 정도로 젊은이들의 일상이 걱정되는 시대도 없었던 같습니다. 무의미를 인생 가운데 받아들이는 젊은이들의 모습을 걱정을 넘어 슬퍼지기 합니다.

보통 사람이 '무의미' 인생 가운데 받아들일 때의 모습은 '포기' 때입니다. '아무것도 없을 ' 우리는 우리의 운명을 그냥 받아들이는 것으로 스스로 자신을 위로합니다.

인생의 많은 질문 속에 살아가는 젊은이들에게 켈러의 책을 통해 무의미의 축제 아니라 의미의 축제 살아가게 하고 싶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0 오두막 189번째 이야기 - 일반 서적은 허지웅의 '살고 싶다는 농담'이고, 신앙 서적은 오스 힐먼의 '결정의 책'입니다. 전우철 2024.03.01 1
199 오두막 190번째 이야기 - 일반 서적은 이노우에 히로유키의 ‘내가 찾던 것들은 늘 내 곁에 있었다’이고, 신앙 서적은 숀 러브조이의 ‘목회의 진실’입니다 전우철 2024.03.01 2
198 오두막 191번째 이야기 - 일반 서적은 한스 로슬링의 'Factfullness(사실충실성)'이고, 신앙 서적은 A.W토저의 '하나님의 길에 우연은 없다.' 입니다. 전우철 2024.03.01 2
197 오두막 192번째 이야기 - 일반 서적은 조지 오엘의 ‘동물농장’이고, 신앙 서적은 김명용 교수의 ‘칼 바르트의 신학’입니다. 전우철 2024.03.01 2
196 오두막 194번째 이야기 - 일반 서적은 리처드 도킨스 교수의 ‘이기적 유전자’이고, 신앙 서적은 박영식 교수의 ‘창조의 신학’입니다. 전우철 2024.03.01 2
195 오두막 193번째 이야기 - 일반 서적은 유시민 작가의 ‘어떻게 살 것인가’이고, 신앙 서적은 전영규 목사의 ‘따미탕’입니다 전우철 2024.03.01 4
194 오두막 199번째 이야기 - 일반 서적은 마이클 슈어의 ‘더 좋은 삶을 위한 철학’이고, 신앙 서적은 마이클 고먼의 ‘삶으로 담아내는 복음’입니다. 전우철 2024.04.30 6
193 오두막 200번째 이야기 - 일반 서적은 엘런 카스텔의 '나이 듦의 이로움'이고 신앙 서적은 폴 스티븐스의 '나이 듦의 신학'입니다 전우철 2024.04.30 9
192 오두막 195번째 이야기 - 일반 서적은 리처드 도킨스의 '만들어진 신’이고, 신앙 서적은 데이비드 램의 ‘내겐 여전히 불편한 하나님’입니다. 전우철 2024.03.01 12
191 오두막 198번째 이야기 - 일반 서적은 헨리 나우웬과 캐럴린 휘트니브라운의 ‘날다, 떨어지다, 붙잡다’이고, 신앙 서적은 김일환 전도사의 ‘무명’입니다. 전우철 2024.04.05 12
190 오두막 197번째 이야기 -일반 서적은 룰루 밀러의 ‘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이고, 신앙 서적은 헨리 나우웬의 ‘데이브레이크로 가는 길’입니다. 전우철 2024.03.12 20
189 오두막 196번째 이야기 - 일반 서적은 앵거스 플레처 교수의 ‘우리는 지금 문학이 필요하다’이고, 신앙 서적은 신영춘 교수의 ‘탄식과 구원의 메타포’입니다. 전우철 2024.03.01 22
188 오두막 168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박은미 교수의 ‘쇼펜하우어의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이고, 신앙서적은 최동규 교수의 ‘포스트모던 시대의 목회’입니다 전우철 2023.03.10 39
187 오두막 164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이항심 교수의 '시그니처'(SIGNATURE)이고, 신앙서적은 허천회 박사의 '웨슬리의 생애와 신학' 입니다. 전우철 2023.03.10 40
186 오두막 161번째 이야기 전우철 2023.03.10 41
185 오두막 159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강영안 교수의 '읽는다는 것'이고, 신앙서적은 코넬리우스 플랜팅가 Jr 교수의 ‘설교자의 서재’입니다. 전우철 2023.03.10 42
184 오두막 158번째 이야기 -일반 서적은 조정래 작가의 ‘홀로 쓰고, 함께 살다’이고, 신앙 서적은 이재철 목사의 ‘목사, 그리고 목사직’입니다. 전우철 2023.03.10 43
183 오두막 166번째 이야기 - 일반 서적은 나카노 노부코 교수의 ‘정의 중독’이고, 신앙서적은 윤석길 교수의 ‘질문하며 읽는 바울신학’입니다. 전우철 2023.03.10 45
182 오두막 160번째 이야기 - '희곡같은 소설, 설화 같은 사실' 전우철 2023.03.10 46
181 오두막 167번째 이야기 - 일반 서적은 말콤 글래드웰의 ‘어떤 선택의 재검토’이고, 신앙 서적은 차준희 교수의 ‘성도가 묻고 성경이 답하다’입니다 전우철 2023.03.10 47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