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오두막 (5분에 책 두권 막 읽어주는 목사) Reading Pastor

.

오두막 176번째 이야기 – ‘목사들이여, 아내를 귀히 여겨서 기도가 막히지 않도록 합시다!’

오늘 소개하는 일반 서적은 이묵돌 작가의 ‘천재들은 파란색으로 기억된다’이고, 신앙 서적은 김기현 목사의 ‘욥, 까닭을 묻다’입니다.

일반 서적입니다. 이묵돌 작가의 이름인 ‘묵돌’은 몽골말로‘용기 있는 자’라는 뜻으로서 자신의 글을 소신껏 쓰는 데 머뭇거리지 않는 프리렌서입니다.

사실 이 책의 원제목은 ‘영원에 관하여’(About Eternity)입니다. 여기서 ‘영원’이란 ‘영감의 원천’을 두 글자로 줄인 것입니다. 책의 소제목이 ‘예술과 영감 사이의 23가지 단상’으로 되어 있는 것도 원제목의 뜻을 잘 나타내기 위함입니다. 이 책은 도스토옙스키를 시작으로 쳇 베이커, 스콧 피츠제럴드, 마일스 데이비스, 무라카미 하루키 등 작가에게 ‘영감’(Inspiration)을 준 인물들에 관해 작가의 관점이 잘 나타나 있습니다.

제가 가장 인상 깊게 읽었던 인물은 초현실주의를 이끌었던 프리다 칼로(Frida Kahlo)였습니다. 그 일생은 끊임없는 투쟁으로 점철돼 있습니다. 멕시코에서 유대인 혼혈아로 태어나 여섯 살 때 척추성 소아마비를 앓았고, 열여덟 살 때는 심각한 버스 교통사고로 철제 난간에 골반이 관통되어 골반과 척추 세 곳이 부러졌으며, 오른쪽 다리는 열한 군데에 골절상을 입었습니다. 30여 차례의 수술, 죽음의 문턱까지 이르게 한 병마, 남편의 끝없는 불륜, 세 차례의 유산 등 고통과 절망을 겪었습니다. 그러나 그런 것들이 수많은 작품의 오브제가 되었고 그녀의 작품 세계에 ‘영원’(영감의 원천)이 되었습니다.

프리다 칼로가 1944년에 그린 자화상인 ‘부서진 기둥’은 자신에게 주어진 처절한 고통과 불행을 단면적으로 보여주는 대표적인 작품입니다.

 

신앙 서적입니다. 김기현 목사는 욥의 고난을 해석하면서 고난의 현실을 살아가는 독자들이 욥을 통하여 스스로 자신의 의문에 그 답을 찾아가도록 돕습니다.  

“욥기는 우리의 고난을 해석해 준다.”(P.6).

욥은 계속해서 선택의 갈림길에 서 있습니다. ‘까닭 없어도’ 하나님을 믿을 것인가, 아니면 ‘까닭 있어야’ 하나님을 믿을 것인가. 욥은 친구들과 논쟁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하나님께 자신의 심정을 토설하고, 탄원하면서 끝내 하나님으로부터 대답을 얻습니다. 그 고통의 시간은 ‘하나님이 누구신지’를 더 깊이 알게 되는 과정임을 신학자의 눈과 인문학자의 소양으로 잘 풀어가고 있습니다.

책 전체에 대한 해석이 다 좋지만, 특별히 욥의 아내에 대한 재해석이 감동적입니다. 현재 개신교가 사용하는 구약 성경인 마소라 본문에는 없고 70인역으로 알려진 헬라어 번역본에는 기록된 이야기를 소개합니다.

“낳은 수고와 키운 보람도 없이 자식들은 모두 죽고, 온몸에 구더기가 득실거리는 남편을 수년 동안 봉양해야 했던 아내가 고난 이후의 삶을 회고하는 내용이다. 집도 없이 들판에서 잠든 날이 얼마인지, 그래도 남편 먹여 살리려고 고무 대야를 머리에 이고 집들을 전전한 날이 얼마인지 셀 수 없다고 한다. 온몸을 박박 긁고 있는 남편의 먹을거리를 위해 품팔이했던 것이다.”(P.53).

우리가 알고 있는 욥의 아내는 욥기 2장 9절의 이미지입니다.

“차라리 하나님을 저주하고 죽어라!”

하지만 작가의 주장대로라면 욥의 아내가 이렇게 말한 시점이 욥에게 고난이 닥친 지 얼마 안 된 시점이 아니라 상당히 오래 지난 뒤에 한 것이고, 남편과 함께 끝까지 고생하면서 견딘 동지의 고언입니다.

아이러니하게도 교통사고로 죽음의 경지에 이르렀던 프리다 칼로를 유명한 화가의 반열에 올라가도록 도왔던 인물은 자기 여동생과 불륜을 저지른 그녀의 남편 디에고 리베라였습니다.

멕시코 민중벽화의 거장이었던 그는 교통사고로 인하여 하반신마비가 된 프리다 칼로와 결혼할 만큼 순수한 사랑꾼이었습니다. 하지만 ‘병에는 장사가 없다’라는 말처럼 영원히 투병 생활을 할 수 밖에 없었던 프리다 칼로에게 큰 상처를 주고 떠났습니다.

인생 자체가 고통이었던 그녀가 죽음 직전 1954년 47세 일기장의 마지막 페이지 쓴 글에는 이렇게 적혀 있습니다.

‘이 외출이 행복하기를 그리고 다시 돌아오지 않기를.’

고통 중에 있던 욥에게 ‘차라리 하나님을 욕하고 죽으라’라고 말했던 욥의 아내는 끝까지 욥의 곁을 지켰던 것과는 대조적으로, 하반신마비의 프리다 칼로와 결혼했던 디에고 리베라는 그녀를 마지막 외출로 떠미는 남편이 되었습니다.

 

두 책을 읽으면서 한 아내의 남편인 제게 하나님께서 무엇을 원하시는지 묵상했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제게 ‘아내를 귀히 여겨서 기도가 막히지 않는 목사가 되라’고 말씀하시는 것 같았습니다!

이 글을 읽는 모든 목사님들에게도 ‘사모님들을 귀히 여기셔서 목사님들의 기도가 막히지 않는’ 2023년도가 되시기를 기도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0 '나의 인생, 남의 인생' - 어떤 하루 (신준모) / 지금 나는 두렵다 (에드 영) 전우철 2020.04.23 127
179 '신은 없다, 신은 있다' - 무신론자를 위한 종교(알랭 드 보통) / 순전한 기독교 (C.S 루이스) 전우철 2020.04.28 125
178 '전염병' - 페스트 (알베르 카뮈) / 정말 기독교는 비겁할까? (디트리히 본회퍼) 전우철 2020.04.28 242
177 '고통이라는 선물' - Me Before You (조조 모예스) / 고통이라는 선물 (필립 얀시/폴 브랜드) [2] 전우철 2020.04.29 134
176 '건축학개론' - 사랑은 내 시간을 기꺼이 건네 주는 것이다 (이기주) / 교회건축과 예배공간 (저자-James White & Susan White, 번역-안덕원) 전우철 2020.05.01 713
175 '세속공간을 변화시키는 것' - 신인류와 문화콘텐츠 그리고 대중문화 (이길용) / 이머징 교회 (에디깁스/라이언볼저) 전우철 2020.05.04 175
174 'Transformation의 크기는, Information의 크기에 달려있다' - 뉴스의 시대 (알랭 드 보통) / 말씀묵상과 예수님을 닮아가는 삶 (강준민) 전우철 2020.05.05 179
173 'The Book 내 인생의 책' - 잘못은 우리 별에 있어 (존 그린) / 삶을 위한 신학 (앨리스터 맥그래스) [2] 전우철 2020.05.07 172
172 '사실은 과거의 것이고 역사가는 현재에 산다' - 역사의 역사 (유시민) / 한국성결교회 형성사 (이한복) 전우철 2020.05.07 232
171 '기쁘게 살 수 있는 힘' - 나는 죽을 때까지 재미있게 살고 싶다 (이근후) / 하나님을 기뻐하라 (존 파이퍼) 전우철 2020.05.12 153
170 '남북통일을 위한 기도'' - 나쁜 사마리아인들(장하준)/대천덕신부의 통일을 위한 코이노니아'(대천덕) 전우철 2020.05.12 173
169 'Say NO! 자녀에 흐르는 상처를 끊는 방법' - 가족의 두 얼굴 (최광현) / 하나님 형상 회복 (유진소) 전우철 2020.05.13 3312
168 'Sink Hole 한국교회에 싱크홀이 생겼습니다' - 이교에 물든 기독교 (프랭크 바이올라/조지 바나) / 미셔널 처치 (최동규) 전우철 2020.05.15 192
167 '나는 크리스챤이 된 것을 후회한다?' - 나는 아내와의 결혼을 후회한다 (김정운) / 나는 참 기독교인인가 (마이크 매킨리) 전우철 2020.05.19 245
166 '타인처럼 느껴지는 사람을 대하는 자세' - 타인의 해석 (말콤 글래드웰) / 영성에도 색깔이 있다 (게리 토마스) 전우철 2020.05.20 406
165 'Nothing + JESUS = Everything' - 나는 인생에서 중요한 것만 남기기로 했다 (에리카 라인) / 하나님의 임재 (달라스 윌라드) 전우철 2020.05.21 323
164 '기다림' - 사람사전 (정철) / 열 두 예언자의 영성 (차준희) 전우철 2020.05.22 173
163 ' 100 퍼센트!' - 불안 (알랭 드 보통) / 하나님을 들으라 (존 파이퍼) 전우철 2020.05.26 165
162 '접속'만 하지말고 '접촉' 하십시오 - 내가 원하는 것을 나도 모를 때 (전승환) / 큐티 라이프 (김은애) 전우철 2020.05.27 129
161 '자신의 인생을 스스로 망치지 마십시오' - 시작의 기술 (개리 비숍) / 주와 함께 달려가리이다 (유진 피터슨) 전우철 2020.05.28 1619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