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오두막 (5분에 책 두권 막 읽어주는 목사) Reading Pastor

 

 

오두막 182번째 이야기 - 'WWJD 전우철목사는 죽어가고 있는가?’

오늘 소개하는 일반서적은 데일 카네기의 인간 관계론이고, 신앙서적은 &조이 다운스의 '부부싸움의 은혜' 입니다.

일반서적입니다.

데일 카네기의 인간 관계론 성경다음으로 많이 판매된 책으로서 1936년도에 출판되었음에도 불구하고 2023년을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유익과 도전을 주는 책입니다.  

제가 재미있게 읽었던 짧은 개의 글은 루스벨트 대통령의 이야기와 톨스토이의 이야기였습니다.

먼저 루스벨트 대통령의 이야기입니다.

시어도어 루스벨트 대통령은 국정에 어려움이 있을 때마다 아브라함 링컨 대통령을 생각했습니다. 정확하게 말하면 미드장군과의 관계가 불편해서 썼던 편지를 보내지 않은 링컨의 마음 생각하면서 자신의 어려움을 극복해나갔습니다.

"만일 링컨이었다면 문제를 어떻게 다루었을까?"

다음은 톨스토이의 이야기입니다.

결혼생활에 어려움이 있었던 톨스토이가 기차역에서 폐렴으로 죽어가면서 이러한 마지막 말을 남겼습니다.

"내가 있는 곳에 나의 아내가 오지 않게 달라"

신앙서적입니다.

부부싸움의 은혜 부부간의 싸움에 대한 소재를 다룬 것으로서 '갈등을 해결하는 부부싸움에 필요한 기술' 설명해 주고 있는 책입니다.

표지에 보면 이런 글이 적혀 있습니다.

"하나님은 부부싸움 속에 가정을 건강하게 비밀을 숨겨 놓으셨다!"

책에 따르면 초창기 복싱경기에는 규칙이 없었습니다. 그러다가 1800년대 후반에 가서야 상대 선수를 발로 차거나, 눈을 후비거나, 허리 아래를 치는 일은 없어야 한다는 주장에 따라서 오늘날의 복싱규칙이 생겼습니다.

부부싸움은 어떠합니까? 복싱보다 못하게 따라야 규칙이 없습니다. 그래서 자주 부부싸움을 때에 상대를 때리고, 눈을 후비고, 허리 아래를 치는 일들이 난무합니다.

책은 이렇게 룰을 제안합니다.  

첫째, 자기 자신도 바라는 대로 바꾸지 못하면서 배우자를 내가 바라는 대로 바꿀 없다고 해서 분내지 말라!

둘째, 내가 결혼을 했다면 사람이 아니라 사람과 결혼 것임을 명심하라! )내가 생각하는 배우자, )실제의 배우자, )내가 결혼하면서 그렇게 것이라고 생각하는 배우자.

셋째는, 결혼생활을 하는데 무엇보다 'We-ness'(우리 주의) 갖고 관계를 하나의 팀으로 바라보는 시선을 가져라!

일반서적과 신앙서적을 읽으면서 책들에는 아주 중요한 공통점이 있는 것을 발견합니다.

그것은 관계의 중요성입니다. 사람과 사람, 상관과 부하, 남편과 아내 그리고 아버지와 아들 모든 관계는 소중합니다. 

2001 어느 봄날, 목회현장의 어려움으로 고통스러울 , 아들 겨레가 목양실로 찾아와서 제게 물어오던 질문을 잊을 없습니다.

"아빠, 저기 걸려 있는 글의 뜻이 무엇인지 아세요?"

목양실 입구 위에 걸어 놓았던 영어약자였습니다. W.W.J.D.

"알지, What Would Jesus Do 약자지!”

"아니예요, 아빠의 모습을 보니 이런 뜻일 같아요"

"Why Woo-choul Jun Die"

" 우리 아버지는 죽어가고 있는가!"

깜짝 놀았습니다. 그리고 아버지로서 아들에게 부끄러웠습니다. 어린 초등학교 4학년생이었던 아들이 아버지의 못회상황을 꿰뚫고 있는 것도 당황스러웠고, 목회 때문에 고통스러워하고 있는 저의 처지를 아들에게 들켜서 너무창피했습니다.

그런데 참으로 아들에게 고마웠습니다. 항상 아버지로서 아들에게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를 생각해 왔었는데, 아들에게서도 배울 것이 있어서 행복했습니다.

이후 개월 뒤에 교회를 사임하고, 아들이 초등학교를 졸업할 , 겨레가 자기의 소원 적은 글을 보면서 많이 울었습니다.

커서 아버지처럼 좋은 목사가 되고 싶습니다!’

아들에게 아버지로서 실패자요, 패배자인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랑해주고, 존경해주고, 아버지를 따라 목사가 되어 아들에게 너무 고마울 뿐입니다.

하나님, 저와 아들에게 ‘WE-NEE’ (우리 주의) 주셔서 감사합니다!

하나님, 하나님과 제게 ‘WE-NESS’ (우리 주의) 주셔서 감사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0 오두막 121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유발 하라리의 '호모 데우스'이고, 신앙서적은 게할더스 보스의 '성경신학' 입니다. 전우철 2020.11.17 75
79 오두막 122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도러이사 브랜디의 '작가수업'이고, 신앙서적은 강영안교수님의 '읽는다는 것' 입니다. 전우철 2020.11.17 67
78 오두막 123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허지웅의 '살고 싶다는 농담'이고, 신앙서적은 오스 힐먼의 '결정의 책' 입니다. 전우철 2020.11.27 65
77 오두막 124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장기하의 '상관없는 거 아닌가?'이고, 신앙서적은 조나단 에드워즈의 '점검'입니다. 전우철 2020.11.27 222
76 오두막 125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심판'이고, 신앙서적은 박성일교수님의 'C.S.루이스가 만난 그리스도' 입니다. 전우철 2020.11.27 78
75 오두막 126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박노해시인의 '푸른 빛의 소녀가'이며, 신앙서적은 심영규목사님의 '요한계시록 묵상집' 입니다. 전우철 2020.11.28 72
74 오두막 127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플라톤의 '소크라테스의 대화록'이고, 신앙서적은 조재형교수님의 '초기 그리스도교와 영지주의' 입니다. 전우철 2020.12.07 84
73 오두막 128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노인과 바다'이고, 신앙서적은 챨스 콜슨의 '이것이 인생이다' 입니다. 전우철 2020.12.07 72
72 오두막 129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조정래작가님의 '홀로 쓰고, 함께 살다'이고, 신앙서적은 본회퍼의 '성도의 공동생활' 입니다. 전우철 2020.12.07 68
71 오두막 130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최재천교수외 5명의 '코로나 사피엔스' 이고, 신앙서적은 톰 라이트의 '시대가 묻고 성경이 답하다' 입니다. 전우철 2020.12.22 66
70 오두막 131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우에니시 아키라 심리학박사가 쓴 '혼자가 되어야만 얻을 수 있는 것'이고, 신앙서적은 이혜진목사님의 '아침묵상 창세기' 입니다. 전우철 2020.12.22 65
69 오두막 132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윌 듀런트의 '내가 왜 계속 살아야 합니까'이고, 신앙서적은 엘리자베스 엘리엇의 '고통은 헛되지 않아요' 입니다. 전우철 2020.12.22 886
68 오두막 133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황동규의 '오늘 하루만이라도'이고, 신앙서적은 헬무트 틸리케의'현실과 믿음 사이' 입니다. 전우철 2020.12.22 192
67 오두막 134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바버라 에런라이크의 '긍정의 배신'이고, 신앙서적은 ‘개혁복음주의회’(대표/스데반황)의 '배도'입니다. 전우철 2020.12.22 128
66 오두막 135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파울로 코엘료의 '베로니카 죽기로 결심하다' 이고, 신앙서적은 케런 메이슨의 '그대 죽지 말아요' 입니다. 전우철 2020.12.22 118
65 오두막 136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비벡 머시의 '우리는 다시 연결되어야 한다' 이고, 신앙서적은 코르넬리스 프롱크의 '예수 그리스도 외에 다른 터는 없네' 정안젤라 2021.04.14 63
64 오두막 137번째 이야기 -일반서적은 알란 캐스터의 '나이듦의 이로움' 이고, 폴 스티븐슨의 '나이듦의 신학' 입니다. 정안젤라 2021.04.14 84
63 오두막 138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더글러스 홀러데이의 '여덟가지 인생질문' 이고, 신앙서적은 코르넬리스 비네마의 '개혁주의 종말론 탐구'와 이신건교수님의 '종말론의 역사와 주제' 입니다. 정안젤라 2021.04.14 72
62 오두막 139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존 밀턴의 '실락원'이고, 신앙서적은 존 비비어의 '순종'입니다. 정안젤라 2021.04.14 116
61 오두막 140번째 이야기 – 일반서적은 케런 리날디의 ‘나는 파도에서 넘어지며 인생을 배웠다’ 이고, 신앙서적은 존 오트보그의 ‘물 위를 걸으려면 단순하게 믿으라’ 입니다. 정안젤라 2021.04.14 75
위로